"탁류(濁流)의 시대를 사실감 있는 액션으로 그리겠다" '서편제', '취화선'의 거장 임권택(67) 감독이 2년만에 '액션영화'로 관객들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 아흔아홉 번째 영화 '하류인생'(제작 태흥영화사, 투자ㆍ배급 시네마서비스)이 그것이다. 19일 오후 영화 촬영이 진행중인 경기도 부천의 판타스틱 스튜디오에서 만난 임감독은 "욕심을 부리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전제하면서 "영화제에서 평가도 받으며 흥행에서도 성공을 시키겠다는 야망을 품고 '하류인생'을 찍고 있다"고 밝혔다. '하류인생'은 1960~70년대를 무대로 하는 건달 이야기. 주인공 '태웅'은 '책보다 주먹이 가까웠던' 학창시절을 보내고 이후 '소질'을 인정받아 건달의 길로 들어선다. 소용돌이치는 현대사에서 온 몸으로 세상에 부딪치는 이 남자의 인생이 영화의 주요 줄거리. 이태원 사장과 정일성 촬영감독이 임 감독과 다시 의기투합했으며 '록의 대부' 신중현이 영화 음악으로 가세한다. 남녀 주인공은 '클래식'의 조승우와'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의 김민선. 임 감독은 영화에 대해 "순수하고 착한 심성의 주인공이 탁류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황폐화하는 과정을 그릴 예정"이라며 "싸움판의 사실감을 영화에 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영화촬영은 현재 30% 가량 진행중이며 내년 2월 말까지 크랭크업한 뒤 4~5월께 개봉할 예정이다. 다음은 일문 일답. --액션영화를 차기작으로 선택한 이유는? ▲사실 주기적으로 액션물을 다루고 있다. 초기에 액션영화를 만든 경험으로 내게는 액션물에 대한 매력이 체질화하고 있는 것 같다. 보통 영화 속 액션은 중국 무술처럼 기예화(技藝化)해 있다. 이번 영화에서는 어떻게든 싸움판의 사실감을 영화에 담아내려고 한다. --'장군의 아들' 등 이전의 액션물과 다른 점은? ▲'하류 인생'을 액션만으로 '팔아먹을' 생각은 없다. 폭력으로 살았던 인물이지만 멜로요소도 있고 사회성도 강하게 들어가 있다. 순수하고 착한 심성의 주인공은 자유당 부정선거나 민주당의 무능함, 5.16 군사정권 등 시류가 바뀌는 과정에서 별 생각없이 살아가지만 집권자가 지향하는 사태에 휘말려들 수 밖에 없다. 그 시대는 탁류의 시대였으니까. 큰 사건보다는 일상의 재미를 강력한 힘으로 찍어내고 싶다. --주인공 캐릭터의 모델이 된 인물은 있나? ▲그 시대는 나를 비롯해 이태원 사장이나 정일성 촬영감독, 신중현씨 등이 살아왔던 시대다. 이 영화는 '장군의 아들'처럼 어느 한 사람의 얘기만은 아니다. 각각이 살면서 겪었던 것들이나 주변의 이야기를 취합해 조립하며 시나리오를 썼다. --'춘향전'에 이어 조승우를 주인공으로 캐스팅한 이유는? ▲'춘향전' 때 조승우의 이력서 사진을 보고 '무슨 배짱으로 그따위 사진을 냈는지'하는 생각이 들더라. 전신 사진도 아니고 그냥 대강 찍어 보낸 사진이었는데 그때 언젠가는 건달영화를 꼭 시켜봤으면 하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언뜻 보면 건달 같은 인상은 없겠지만 영화가 완성된 후에는 모두 깜짝 놀랄 정도로 잘 어울린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김민선을 여주인공으로 출연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인형처럼 예쁘지는 않지만 개성이 있고 매력도 대단한 배우다. 엄청나게 노력하는 친구이며 순발력도 좋고 영리한 사람이다. 게다가 자신의 역에 딱 맞는 연기를 해내고 있다. --영화에 멜로 요소는 어느 정도 들어가는가. ▲사실 나는 멜로를 잘 하는 감독은 아니다. 하지만 '장군의 아들'도 멜로 요소를 갖고 있고 그래야 또 흥행이 잘 된다. 물론 우여곡절과 눈물의 사연이 있는 식은 아니다. --신중현이 음악감독을 맡게 된 계기는? ▲전작들은 거의 국악 중심으로 음악을 썼으며 그 힘으로 영화를 밀어붙였고 서편제 때는 우리 소리가 감동스러움을 젊은 사람들에게도 알렸다. 근대가 배경이니 시대에 맞는 음악을 쓰고 싶었고 이 부분에서 도움을 줄 만한 분은 음악가 신중현씨밖에 없다고 판단했다. 최근에는 작곡을 안해왔지만 그에게는 세월이 쌓여 있다. 쌓인 세월에는 작가에게 대단한 음악적 진원지로 작용한다. 그분의 음악성에 깊은 신뢰를 갖고 있고 따라서 '록'음악이 될 수도 있다. 예전에 발표한 노래도 영화에 들어가고 새로 만든 노래도 포함된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60년대를 돌아보면? ▲나도 '하류인생'을 살고 있었다. 영화도 허접한 영화들을 찍었고. 61년 처음 촬영을 시작했고 60년대 초반 연출을 시작했다. 어느새 40년이 지났다. --'하류인생'을 칸영화제에 출품할 계획은 있나. ▲벌써부터 칸에서 관심을 보내오고는 있다. 욕심을 부리고 있는지 몰라도 영화제에서 평가도 받고 흥행에서도 성공시킬 수 있는 그런 야망을 품고 있다. 물론 영화의 '꼴'이 잘 되어야지. 아니면 쳐다나 보겠나. --100번째 영화에 대한 계획은? ▲초기 50여편의 영화를 '흐트렁 망트렁' 만들었다. 때문에 100번째라고 해도 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98편의 전작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영화는 어떤 작품인가. ▲기술시사회나 기자시사회 말고는 내 영화를 될 수 있으면 안보려고 한다. (속이) 끓어서 못보겠다. '왜 그렇게 찍혔나. 더 잘 할 수도 있었는데'라는 식의 생각이 끊이지 않는다. 영화는 딱 끝나면 바로 잊어버린다. (부천=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