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역사(驛舍) 유치에 성공한 지방자치단체들이 내년 4월로 예정된 상업 운행을 앞두고 본격적인 역세권 개발에 뛰어들었다. 이들 지자체는 '꿈의 육상교통혁명'으로 불리는 고속철이 물류 관광 교통과 지역 특화산업 등에 가져올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며 역사 주변을 지역경제의 중핵으로 키워나간다는 청사진을 세워놓고 있다. 울산시는 역사 건설예정지를 울주군 삼남면 신화리 일대로 잠정 결정, 내년 3월까지 세부계획을 확정해 역세권 개발사업에 착수키로 했다. 시의 개발구상안에 따르면 직접 역세권(역에서 반경 5백m 이내)과 1차 역세권(반경 1km 이내) 30만∼40만평은 역사와 판매 유통 등 관광지구로 공영개발하고 2차 역세권(반경 3km 이내)은 주거 및 배후지로 개발할 계획이다. 역사 이름을 '신경주역'으로 결정한 경주시는 역사 주변을 인구 3만명을 수용하는 신도시로 개발, 연간 2조9천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둔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경주시는 이와 함께 안강 옥산서원과 양동마을을 연계한 문화관광코스 개발 및 울산과 이어지는 외동읍 준공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인구 40만명 시대를 연다는 개발계획도 추진키로 했다. 김천ㆍ구미역 설치가 확정된 경북도는 역세권 개발을 위해 구미 칠곡 상주 성주를 중ㆍ서부권 광역종합개발계획지구로 지정해 반도체 컴퓨터 통신업체 등이 입주하는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충북도는 오송을 중부권의 신흥 도시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전략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오송 생명과학단지와 연계해 역사 주변을 동북아 생명과학 모델도시로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동대구 고속철도 역세권에 고가다리 형태의 인공 대지를 조성, 고속터미널 기능과 금융 정보 상업시설을 겸비한 복합타운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천안시는 천안역사 주변 8백76만평을 디즈니랜드형 종합위락단지와 대학 캠퍼스 등을 갖춘 복합신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대전역 주변을 대규모 주거단지 및 유통센터로 개발키로 했다. 지자체들의 이같은 역세권 개발계획에 대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와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지자체들이 저마다 재정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역세권 개발경쟁에 나설 경우 월드컵 경기장과 같이 재정난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지적이다. 대구=신경원ㆍ울산=하인식 기자 shink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