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포커스] 부동산시장 '3대 惡材'에 초토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 경기가 급속히 위축되며 본격 불황국면에 접어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업계는 국세청의 세무조사,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여부 조사,금융기관의 대출 억제,신규 분양시장의 급랭 등 한꺼번에 들이닥친 악재로 크게 흔들리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 기관의 조사를 받는 업체들은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기관들도 건설업체에 대한 자금지원을 끊고 있다.
여기에다 주상복합 오피스텔 상가는 물론 아파트 분양시장도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10·29대책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이같은 시장 경색 현상은 최근들어 더욱 거세게 번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문을 열면 바로 찬바람이 들어올 정도로 시장 환경이 급랭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시장 공동화 현상이 지속될 것 같다"고 걱정했다.
◆칼 빼든 정부 기관
용인 동백지구를 비롯 택지개발지구에서 건설사의 분양가 담합 행위를 조사하는 공정위는 다음달 15일까지 참고인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담합이 이뤄졌을 경우 과징금을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업체는 변호사를 선임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이다.
중개업소 뿐 아니라 분양 대행사에도 국세청의 세무조사 한파가 밀어닥쳤다.
S사 K사 등 일부 대행사들은 이미 국세청에 세무 관련 자료를 넘겼다.
K사 관계자는 "약 1개월 간 고분양가 책정,대규모 사설펀드 조성 등에 대해 서울지방국세청에서 조사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대형 건설사인 D사도 서울 동시분양에서 분양가를 높게 책정했다는 이유로 국세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양시장은 바닥으로 치닫고
분양시장은 직격탄을 맞은 분위기다.
주상복합 오피스텔은 물론 아파트에 대해서도 수요자들은 냉담하다.
부산 대구 등 지방은 물론 서울 및 수도권에서도 소비자들의 관망세는 지속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실수요자들조차도 불안해 하며 지켜보자는 형국"이라며 "건설사들도 이같은 분위기 때문에 분양을 망설이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최근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대부분이 순위 내 청약에서 미달되자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이어지는게 아닌가 우려하고 있다.
◆금융권도 자금대출 옥죄기
금융기관들도 부동산시장의 냉각을 의식해 프로젝트파이낸싱 등 각종 대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30%만 넘어도 자금을 지원해주던 분양률 기준도 50%이상으로 상향 조정됐다.
서울에서 분양예정인 A오피스텔은 프로젝트파이낸싱은 성사시켰지만 분양률이 80%를 넘어야 자금을 대출해준다는 조건을 받아들여야 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금을 마련하지 못한 시행사들의 연쇄부도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는 일부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기정사실로 나돌고 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