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자금 기업수사 어디로] 조기 사법처리 '속전속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검찰이 불법 대선자금 수사와 관련,LG홈쇼핑 금호산업 등에 이어 24일 삼성그룹의 삼성전기에 대해전격 압수수색에 나선 것은 '속전속결'로 이달중 사법처리 가닥을 잡기로 한 수사 스케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관련기업의 '협조'에만 의존할 경우 수사기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 경우 '검찰이 경제를 망친다'는 여론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고 '전격전'을 펴는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LG카드의 유동성 사태로 경제상황이 극도로 좋지 않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검찰이 삼성 계열사를 압수수색한 데 대해 '경제상황의 고려는 사실상 물건너간 것 같다'는 해석이 나오기도 한다.
재계에선 대선자금 수사를 넘어 기업 내부 전반으로 수사 대상을 확대하는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이같은 재계의 우려에 대해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은 대선 관련 비자금 수사와 관련된 것일 뿐"이라며 기업 오너나 그룹 일가의 상속문제 등으로의 수사확대 해석을 일축했다.
검찰은 그동안 소병해 삼성화재 고문과 이대원 전 삼성중공업 부회장,안복현 제일모직 사장 등에 대한 출금조치를 통해 광범위한 '정황 증거' 확보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이들 관련인물을 통한 수사가 한계에 봉착하면서 계열사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해석된다.
검찰이 이례적으로 회사는 물론 강호문 사장의 자택까지 압수수색에 들어갔다는 점에서 사전에 광범위한 기초자료 조사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동양전자공업과의 하청거래 과정에서 비자금조성 정황 단서가 포착됐을 것'이란 설에 대해선 확인을 거부했다.
검찰은 '경제를 죽인다'는 경제계의 하소연을 감안,삼성 LG SK 현대차 롯데 금호 한진 등 주요 기업들에 대한 기초 수사를 빨리 마무리해야 하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대검 관계자도 "2~3일이면 총수 등 주요 인사에 대한 소환 일정이 잡힐 것"이라고 말해 최종 증거채집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내달초께는 사법처리 대상 선별에 돌입하고 중순께는 대선자금 수사와 관련, 중간발표가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은 기업 조이기와 동시에 정치권 압박 강도도 높이고 있다.
검찰은 24일 한나라당 후원회측이 제출한 입출금 내역 중 '빠뜨린 부분'에 대한 추가 보충자료를 제출받아 면밀히 검토 중이다.
또 조만간 나오연 한나라당 후원회장과 김영일 의원 등을 상대로 후원금 일부가 모금 내역에서 누락된 경위 등에 대해 조사키로 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