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겐 뢰플러 < 하나알리안츠투신 사장 >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몇몇 저명한 경제학자들은 중앙통제식 계획경제체제가 자유시장체제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했다.자유시장경제는 경쟁사간 중복되는 투자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며 특유의 변동성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고립된 계획경제체제로 인해 소련과 동유럽이 붕괴된 이후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는 경제학자는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다. 미국의 자유시장체제 혹은 자유방임주의,확장된 사회보장제도와 노동시장에 특별한 규제를 가미한 유럽국들의 사회시장제도를 보더라도 시장경제는 그 내부에서 차이가 있다. 신흥 경제국에서도 정부 개입도에 따라 유형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콩은 산업정책에 직접 관여하지 않으면서 제도적 틀을 제공하는 데에 집중하는 경제정책의 전형인 반면에 한국경제는 정부에 의해서 계획되고 이끌어진 경제의 전형이다. 한국과 홍콩의 경우만 보더라도 두 방법 모두 성공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을 비교하면 독일과 프랑스 같은 주요 유럽국들은 경직된 노동·상품시장 때문에 문제에 처해 있다. 독일은 심지어 '유럽의 환자'라는 별명을 갖게 된 반면 미국경제는 높은 성장률로 불황을 헤쳐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면 이 상황은 달리 해석될 수 있다. 유럽이 성장을 되살리려고 발버둥치고 있지만 아직 경제의 붕괴단계에 이르렀다고는 할 수 없다. 독일은 분명히 매우 경직된 노동시장과 높은 노동비용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독일제 상품들이 세계 시장에서 잘 팔린다. 심지어 독일은 최근 미국이 차지했던 최대 수출국 자리에 오르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에도 미국의 가계가 높은 수치의 적자를 기록할 때, 유로지역은 높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미국 재정적자는 유럽평균의 두 배가 될 전망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어떤 체제가 더 우수한지를 판단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가끔 체제라는 것은 큰 문제가 발생하기 직전에 가장 우수해 보일 때가 있다. 1970년대와 80년대에는,일본이 세계경제를 제패할 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유럽과 미국에 만연해 있었다. 하지만 일본 경제는 곧 침체기에 들어 무려 10여년간 불황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미국도 유사하다. 엔론이나 월드컴 사건이 터지면서 주식시장과 경제가 하락하기 직전에는 유연한 자본시장과 기업 투명성 및 주주 우대의 이상적 모델로 여겨지기도 했었다. 각 국가별 여론,인구,산업과 금융구조의 차이도 최적의 정책 선택을 더 어렵게 한다. 미국과 같이 유연한 노동시장을 가진 자유시장체제는 분명히 경제적으로 유리한 면을 가질 것이다. 미국 시민들은 이에 익숙해져 있으며,개인의 자유 및 책임을 중시하는 사회에 없어선 안될 부분이라고 여긴다. 다른 역사와 정서를 가진 유럽에서 고용 및 해고 정책의 변화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며,최악의 경우 심각한 정치적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유럽사람들은 이미 사회복지와 고용보장법에 익숙해져서 인구고령화로 더 이상 사회복지를 지속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서도 복지를 삭감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장기적으로 어떤 경제체제가 가장 적절한 지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아직 사회 및 노동시장체제가 정립돼 있지 않은 신흥국에선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시장이 유연할수록 더 효율적인 반면에 시장,특히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쉽게 훼손되며 회복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형평성 문제도 대두된다. 노동시장의 규제는 단기적으로 근로자를 보호할 수는 있겠지만,이는 실업자와 젊은이들의 희생이라는 대가가 뒤따른다. 이와 같이 너무 관대한 사회제도도 후세대에게 큰 부담을 남길 것이다. 부모로서 훗날에 자녀들이 지불해야할 대가로 자신들의 인생을 즐기려고 한다면 마음이 편하겠는가. 사회적 측면에서 높은 정부부채와 지속 불가능한 연금체제를 지속하는 대가로 무거운 짐을 후세에 물려주고 있다. 자녀들이 물려받을 환경 오염은 말 할 것도 없다. -------------------------------------------------------------- Is there an optimal economic system? Even after world war II, some respected economists maintained that a central planning system might be superior to a free market system because of the latter's inherent volatility and duplication of costs due to overlapping investments by competing firms. After the collapse of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which proved the desolate state of these central planning economies, no serious economist would maintain such a position any more. However, even among economies who rely on the market system, there seem to be distinct variants: the free market system or laissez faire capitalism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US and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market system of many European countries which combines a market economy with an extended social security system and significant regulations especially for labor markets. Looking at emerging economies, we can find similar prototypes regarding the extent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Hong Kong could be considered as the prototype of an economy where the government concentrated on providing an institutional framework without direct interference in industry policy, whereas the development of, for example, the Korean economy was very much planned and guided by government. Looking at Hong Kong and Korea, we can see that both ways can lead to success. Comparing the US and Europe, major European countries like Germany and France now look in trouble, mired in labor and product market rigidities. Germany was even dubbed the "sick man of Europe", whereas the US economy seems to come out of recession with high growth rates. As often, at second glance things look a bit more differentiated. Even though Europe struggles to revive growth, it is not at the brink of economic collapse. Germany admittedly has a very rigid labor market and extremely high labor costs, but still many of its products are well sold in world markets. In fact, just recently Germany overtook the US as the world's largest exporter. In aggregate, the Euro-zone has a current account surplus whereas the US is running a record high deficit. The expected US budget deficit for this year is twice as big as the European average. History tells us as well that we better be careful drawing quick conclusions about which system is superior. A system often looks best, shortly before serious problems arise. Let's look back at the stunning rise of the Japanese economy in the 1970s and 1980s and wide-spreads fears in Europe and the US that Japanese wealth will buy up the whole world. Shortly after, the Japanese economy went into a decade-long stagnation. Similarly, just a few years ago the US looked like the prototype of well functioning capital markets, corporate transparency and shareholder value - just before a downturn in stock markets and the economy brought the Enrons and Worldcoms to the light. What makes matters even more complicated are differences in public preferences, demography and industrial and financial structures. The free market system of the US with its highly flexible labor markets has obvious economic advantages. Us citizens are not only used to it, but most of them accept it as an integral part of a society putting strong emphasis on individual freedom and responsibility. In Europe, with a different history and mentality, a hire and fire policy would not only be hardly acceptable to the majority of people but in the worst case could cause serious political instability. Looking at Europe, we see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ut back on social benefits and protective labor laws, once they have been established and people have got used to it - even if changes in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landscape render them unsustainable going forward. Even though it is hard to tell which economic model is the best in the long run, developing countries who still can shape their social and labor market system, might take the following lesson: economic theory tells us that the more flexible a market, the more efficient it can work and history tells us that market and especially labor market flexibility is easily lost but very hard to regain. There is a fairness issue as well. Labor market regulation might protect workers in the short-term, but at the expense of the unemployed and young people who have less chances to find a job in an inflexible labor market. Similarly, a too generous social system can significantly burden future generation. As parents, we all would feel ashamed enjoying our lives by making big debts which at the end of our lives we then pass to our children for repayment. As societies we do exactly that with high government debt and unsustainable pension systems. Not to mentions the serious damages to the natural environment our children will inherit from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