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공단이 중국 칭다오 개발구에 비해 임금은 10배,땅값은 40배에 달한다는 것은 한국 제조업이 얼마나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선명히 보여주는 것이다. 이같은 여건에서 공장 해외이전을 최대한 막으려면 각종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투자의욕을 부추기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국과 중국의 기업 여건 격차는 비단 임금과 땅값에 그치지 않는다. 공업용 전기료와 공업용수 사용료도 각각 1.9배,1.5배 비싸고 세금 역시 월등히 높다. 게다가 칭다오는 16만명에 이르는 취업가능인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안산공단은 일손을 구하지 못해 애를 태우는 실정이다. 때문에 안산공단은 전체인력의 30%(4만5천여명)를 외국인 근로자로 채우고 있는데 그나마 외국인고용허가제가 시행되면 다시 10% 이상 인건비를 더 부담해야 할 처지다. 중국은 지리적으로도 극히 인접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공장 이전은 막기 힘든 대세로 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어떻게 하면 기업을 국내에 붙잡아두고, 또 중국으로의 이전을 최대한 늦출 것인가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안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는 일이다. 출자총액규제다,수도권 집중억제다,국토균형발전이다 해서 지나치게 제한을 가하면 기업들은 여건이 나은 중국을 사업적지로 평가하게 될 것임은 깊이 생각해볼 필요조차 없다. 세계적 첨단기업을 끌어들이는 것도 중차대한 과제다. 첨단분야는 중국보다 기술력과 산업여건에서 상대적 우위에 있는 만큼 적극적 노력만 기울인다면 유치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외자유치를 알선한 공무원에게 투자금액의 1∼5%를 지급하는 중국의 파격적 인센티브시스템까지는 도입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획기적 투자유인책은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합리적 노동운동을 정착시키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숙제다. 툭하면 벌어지는 파업과 강경투쟁은 한국의 이미지를 갉아먹는 것은 물론 외국기업의 국내진출을 막고 국내기업을 해외로 내쫓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노동운동 지도부는 이같은 상황을 직시하고 과연 한국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국제적 시야로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가장 할 일이 많은 것은 정부다. 민간경제계의 건의를 과감하게 받아들임으로써 투자환경을 대대적으로 개선하고 '일할 맛 나는' 나라를 만들어가지 않으면 안된다. 법과 원칙을 일관되게 준수하면서 노사문화를 선진화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