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 Strategy] 겨울철 10야드 더 내는 티샷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황
예년과 같은 쌀쌀한 날씨는 아니지만 그래도 페어웨이는 딱딱한 편이다.
오전에 플레이하면 티샷한 볼이 예상외로 많이 굴러간다.
평소 '볼은 똑바로 보내는데 거리는 떨어지는' 골퍼들은 잘만 치면 '장타자' 소리도 들을 수 있다.
다소 변칙적이지만 몇 야드의 거리를 더 낼 수 있는 방법 두가지를 소개한다.
◆전략
첫째 '풀 훅'을 시도하는 것이다.
목표라인 왼쪽으로 날아가다가 낙하지점에서 좀더 왼쪽으로 굽어지는 풀 훅은 그 어떤 구질보다도 거리를 내는데 유리하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회전하는 '드로 스핀'과 스팅어 미사일과 같은 저탄도로 인해 몇 야드는 더 낼 수 있다.
단 몇가지 조정은 필요하다.
일단 목표보다 오른쪽(경우에 따라서는 러프)을 겨냥해야 한다.
또 페이스를 약간 닫고 어드레스를 한뒤 페어웨이를 향해 당겨친다는 자세로 스윙한다.
스윙은 평상시보다 더 플래트하게 해야 하는데 양손이 왼어깨 바로 위에 올라온 상태에서 낮은 피니시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샷은 컨트롤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습이 필요하다.
그러나 감만 잡으면 몇 야드의 거리는 벌 수 있다.
둘째 3번우드로 드라이버 거리를 내는 것이다.
이는 특히 드라이버샷이 뜨지 않아 고민할때 쓸모있는데 로프트를 죽여 스푼 이상의 거리를 낼 수 있다.
이 역시 몇가지 조정이 필요하다.
먼저 볼은 왼발선상이 아닌 몇 인치 뒤쪽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그립을 한 양손은 볼보다 앞쪽에 오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클럽페이스가 세워지는 효과(디로프트)를 내 드라이버와 비슷한 로프트를 갖게 된다.
또 볼이 뒤쪽에 있음으로써 더 견실한 콘택트가 이뤄진다.
물론 임팩트 순간에도 손이 볼보다 앞쪽에서 클럽을 리드하는 식이 돼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일반적 스푼티샷보다 더 플래트하고 강력한 탄도의 샷이 나와 거리증대로 이어진다.
◆멘탈 포커스
두 방법은 어디까지나 '정석 플레이'는 아니다.
임기응변이다.
드라이버샷 감이 좋아 웬만큼 거리를 낼 수 있다면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