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서울시장이 "최근 마포구 상암지구에서 공급된 40평형 아파트의 원가를 공개하겠다"고 밝히자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주택업계에선 "지방자치단체가 시장 원리 파괴에 나선 것으로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에선 "원가 공개가 다른 공기관과 민간기업으로까지 확대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반기고 있다. 상암지구 아파트의 원가 공개가 이뤄질 경우 국회에 계류 중인 분양가 원가연동제 및 원가공개 관련 법안 통과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시의 동시분양 아파트 분양가 규제 등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시민단체들은 서울시 방침을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김자혜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단체(소시모)' 사무총장은 "1년6개월 동안 분양가 원가 공개를 요구해온 게 드디어 결실을 거둔 셈"이라고 평가한 뒤 "서울시가 원가 공개 시늉만 내서는 안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이참에 제대로 된 원가 공개 내역을 통해 민간업체들도 따라올 수 있는 원가기준 모델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반면 주택업계는 "서울시가 고분양가 책정에 대한 비난을 피하기 위해 원가 공개라는 꼼수를 동원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따라서 업계는 "서울시가 과연 원가를 공개할 수 있을까"라며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다. 한 중견업체 관계자는 "택지조성 원가와 건축비 등을 감안할 때 많아야 평당 3백만원인 원가를 서울시가 공개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건설사마다 원가 개념이 다른 데다 원가를 공개하면 소비자나 조합원들의 집단성 민원이 폭주해 사업 추진이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관계자도 "서울시가 정확한 원가를 공개할지 미지수"라며 "원가 공개는 시장 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민간 업체들이 그동안 분양가를 얼마나 부풀렸으면 서울시가 저렇게 자신있게 치고 나오겠느냐"며 "업계의 분양가 자율조정 기능이 조속히 활성화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