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유럽연합(EU) 미국 중국 등 전세계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 방침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LG전자 환경기술위원회(위원장 백우현 사장)는 8일 △내년까지 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금지 △유해물질 규제 이하 수치로 유지 △내년 말까지 모든 제품에 무(無)납땜 적용 등을 골자로 하는 '친환경 경영전략'을 수립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EU가 요구하는 폐제품 회수·처리 시스템 구축,재활용률 향상,친환경 제품 개발,녹색구매 제도 확대 등도 추진키로 했다. 유해물질 사용 금지와 관련해서는 EU가 금지하고 있는 6카크롬 카드뮴 수은 등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자체 실험실을 갖췄으며 제품별 관리기준을 EU 기준보다 더 엄격히 규정,관리하기로 했다. 올해 LCD TV,모니터,세탁기,에어컨 등에 납땜을 사용하지 않은 데 이어 내년 말까지 모든 제품에 납땜을 하지 않기로 했다. 폐제품 회수·처리에 대한 EU 규정이 시행될 경우 비용이 크게 늘어날 것에 대비,업체간 제휴 및 시설 설립 등을 통해 매출액 대비 5∼6% 수준인 회수·처리 비용을 30%가량 낮추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제품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EU의 재활용 기준(냉장고·세탁기 75%,청소기 50%,TV·비디오 65%,PC·단말기 65%)보다 10% 정도 높은 기준을 적용키로 했다. 녹색구매제도도 실시,부품 구매부터 환경에 유해한 부품을 차단토록 할 계획이다. CTO(최고기술책임자) 백우현 사장은 "유럽 미국 등 선진국들은 환경친화적인 기술 우위를 무기로 세계 무역시장 재편을 주도하고 있다"며 "친환경 경영전략 확정을 계기로 향후 국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가장 강력한 환경규제 정책을 실시 중인 EU는 지난 2월 전기전자제품에 수은 납 카드뮴 등 유해물질 사용을 2006년 7월부터 전면 금지하는 '특정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과 2005년 8월부터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의 폐가전 회수 및 재활용을 의무화하는 지침을 발표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