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과 관련한 법원의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KCC측과 현대엘리베이터 현정은 회장측간 신경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현대그룹은 지난 3일에 이어 8일 정상영 KCC 명예회장이 신문광고를 통해 주식매입 경위 등을 담은 석명서를 발표한 데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현 회장측은 이날 '정상영 명예회장의 석명서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라는 제목의 반박문을 통해 정 명예회장이 처음부터 현대그룹 경영권을 빼앗으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 회장측은 정 명예회장이 90억원 추가 담보를 제공하면서 당시 정몽헌 회장 소유의 자택과 김문희씨 소유의 현대엘리베이터 주식 70만주를 담보로 요구했다고 공개했다. 현 회장측은 또 정 명예회장이 확보한 2백90억원의 자금은 유가족이 상속을 포기할 경우 고인의 차입금을 대신 갚고 구상권을 행사,엘리베이터 주식 70만주를 소유하기 위한 차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KCC측은 현대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담보권 실행을 서둘러 줄 것을 해당 금융사에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김문희씨(현 회장 어머니)가 담보제공사실을 알면서도 몰랐다고 주장했다는 KCC측의 공격에 대해 현 회장측은 "김문희씨는 당시 확인서 작성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정몽헌 회장 사후에야 알게 됐다"고 해명했다. 또 KCC측이 사모펀드를 통해 엘리베이터 주식을 매집한 시점은 지난 10월2일로 유가족이 정 명예회장에게 금호생명 대출금 일부(72억원)를 상환한 날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에 KCC는 현대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한 조치였을 뿐이라며 현 회장 반박을 일축했다. KCC는 당분간 현대 정씨 일가에서 현대그룹을 경영해야 한다는 명분과 당위성을 알리면서 법원의 가처분 결정을 기다릴 예정이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