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9일 미국이일괄타결안을 한꺼번에 받아들일 수 없다면 최소한 차기 6자회담에서 `말 대 말'의공약과 함께 `첫단계 행동조치'라도 합의할 것을 요구했다. 북한은 첫단계 조치에 대해 "우리가 핵활동을 동결하는 대신 미국에 의한 `테러지원국명단' 해제, 정치ㆍ경제ㆍ군사적 제재와 봉쇄철회, 미국과 주변국에 의한 중유, 전력 등 에너지 지원과 같은 대응조치가 취해져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이같이 밝힌 뒤 "6자회담 재개 여부는 전적으로 우리가 제기한 첫단계 조치가 합의될 수 있는가에 달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이어 "이렇게 되면 6자회담이 계속 이어질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게될 것"이라며 "명백한 것은 그 어떤 경우에도 우리의 핵활동을 아무런 대가도 없이 공짜로 동결할 수는 없다는 것"이라고 대가를 강조했다. 또 "동시행동 원칙에 기초한 일괄타결 방법에 의거하는 것은 생명이며 우리(북한)와 미국 사이에 합의해야 할 핵심사항"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특히 "미국이 동시행동이라는 문구 표현을 우려한다면 그것도 내용변화가 없는이상 미국이 마음에 드는 표현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고 11월1일 뉴욕 접촉선을통해 제2차 6자회담을 12월초 재개하자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미국이 선의로 대답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여론화되거나 직접 들려오는말에 의하면 미국은 지금 `서면안전담보'라는 문서장 하나로 우리의 핵억제력을 송두리째 들어내보자고 하는 것 같다"면서 "우리가 미국의 미온적인 공약 하나만을 믿고 스스로 무장해제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제1차 6자회담에서 동시행동 순서로 ▲미국이 중유제공 재개 및 식량지원 확대를 취하는 시기에 맞춰 북한은 핵 계획 포기의사를 선포하고 ▲미국이 불가침조약을 체결하고 전력손실을 보상하는 시점에 북한은 핵시설과 핵물질 동결 및 감시사찰을 허용하며 ▲북미, 북일 외교관계 수립과 동시에 북한은 미사일 문제를 타결하고 ▲경수로 완공 시점에 북한은 핵시설을 해체하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