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6자회담에서 `말 대 말' 공약과 함께 첫 단계 행동조치라도 합의하자는 9일 북한 외무성대변인의 발언에 대해 정부가그 진의 파악에 나서는 한편 미국.일본과 공동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조선중앙통신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빌은 북한 외무성대변인의 발언은 지난 3∼4일 미국 워싱턴D.C. 비공식 정책협의회에서 합의된 한.미.일 3국 공동문안 내용이 중국을 통해 북한에 전달됐을 시점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부는 한.미.일 3국이 합의한 공동문안에 대한 내부검토를 거쳐 8일 주중 대사관을 통해 중국측에 최종안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3국의 공동문안에 대한 북한의 첫 반응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무엇보다 6자회담 주관부처인 외교통상부는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북한 외무성대변인의 발언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필요하며, 별도의 확인과정을거쳐 북한의 분명한 의도를 파악한 뒤 입장을 밝히겠다는 뜻에서다. 외교부의 이런 태도는 충분한 검토없이 섣불리 입장을 낼 경우 자칫 북한 당국에게 오판할 빌미를 주지 않을 까 우려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10일 윤영관 장관의 주례 브리핑에서 공식 입장을 밝히는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도 조심스럽기는 마찬가지이지만, 2차 6자회담에 대한 북한의 긍정적인제스처라는데 좀 더 무게를 두고 있다. 일단 북한이 "미국이 일괄타결안을 한번에 다 받아들일 수 없다면 최소한 차기6자회담에서 `말 대 말 공약과 함께 첫 단계의 행동조치라도 합의하자"고 요구한 것은 2차 6자회담 참석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통일부의 시각이다. 그러나 북한이 첫 단계 행동조치로 미국에게 테러지원국 명단해제, 정치.경제.군사적 제재와 봉쇄 철회, 중유.전력 등 에너지 지원 등을 거론하고, 2차 6자회담에서 이러한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차후의 6자회담이 지장받을 수 있다고 엄포를놓은 것은 2차 6자회담이 열린다해도 난항을 예고하는 대목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북한의 요구는 3국의 공동문안에 구체적으로 거론되지 않은 것일 뿐아니라, 특히 미국이 `어떤 종류의 대북 지원이든 향후 북한의 태도를 지켜봐가면서 주겠다'는 여전히 완강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외무성대변인의 발언은 최근 전달된 한.미.일 3국의 공동문안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면서도 2차 6자회담 참석의지를 밝힌 것이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인교준 기자 chu@yna.co.kr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