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부동산종합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여가 지나면서 경매시장에서도 본격적인 조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서울지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낙찰가÷최초감정가)이 지난 2001년 5월 이후 처음으로 70%선으로 떨어졌으며 낙찰받은 후 마감일까지 잔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계약자도 속출하고 있다. ◆아파트 물건 대폭 늘고 낙찰가는 크게 떨어져 법원경매정보업체인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경매에 부쳐진 물건은 3천3백17건으로 지난 10월보다 2백95건이나 늘었다. 이 중 아파트 물건은 7백29건으로 지난 1월의 3백20건보다 2.3배 증가했다. 또 10·29 대책 여파로 투자심리가 급랭하면서 낙찰가율도 크게 떨어졌다. 지난달 아파트 낙찰가율은 78.77%로 10월의 93.06%보다 무려 14.29%포인트나 떨어졌다. 서울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70%선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01년 5월 79%를 기록한 이후 2년6개월 만에 처음이다. 특히 이달 들어서는 입찰률마저 크게 떨어지고 있다. 지난 5일 서울지방법원 본원 입찰에 나온 1백52건 중 낙찰된 물건은 30건에 그쳤다. 대부분 입찰 경쟁자가 1∼2명에 불과했으며 7명이 참여한 동작구 흑석동 소재 대지가 최고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였다. 전체 30건 중 무려 18건이 단독 입찰 물건이었다. 최초감정가가 2억원인 관악구 신림동 한양아파트 32평형에는 단 한 명이 참가해 1억6천5백10만원에 낙찰받았다. 지난 9월까지 무려 30∼40여명이 참가했던 재건축아파트의 인기도 시들하기는 마찬가지다. 지난달 말 서울 동부지원에 나온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 16평형은 최초감정가가 3억원이지만 매수자가 없어 유찰됐다. 재건축 예정 아파트가 2회차 입찰로 넘어간 것은 극히 드문 사례다. ◆꼭지점 낙찰 잔금 미납 속출 10·29 대책 이전 꼭지점에서 낙찰받은 후 잔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투자자들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 9월 3억4천4백만원에 낙찰된 고덕주공 18평형은 지난달 12일이 잔금 마감일이었으나 아직까지 낙찰자가 잔금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이 아파트의 현 시세는 3억6천만원선이나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10월 5억5천3백80만원에 낙찰된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32평형도 투자자가 지난달 19일인 잔금 마감 기한을 넘겨 내년 1월에 재경매에 부쳐질 예정이다. 또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롯데아파트 38평형도 5억1천1백30만원에 낙찰됐으나 잔금 납부일을 넘겨 재경매에 나오게 됐다. 경매 관계자들은 "잔금 기일을 넘기면 낙찰자는 낙찰가의 10%에 해당하는 계약금을 고스란히 날리게 되지만 아파트값 낙폭이 커 차라리 계약금을 포기하겠다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법무법인 산하의 강은현 실장은 "투자 목적으로 고가에 낙찰받은 경우 대출제한과 가격하락이라는 이중고로 결국 손을 들고 있다"며 "하지만 실수요자들은 경매를 통해 내집을 마련하기가 훨씬 쉬워진 만큼 저가 매물에 꾸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