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자수가 7백만명에 이르는 '인터넷 신분증'인 개인용 공인인증서 발급이 내년 초부터 유료화된다. 10일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에 따르면 한국정보인증 금융결제원 등 6개 공인인증기관은 그동안 무료로 제공해온 개인용 공인인증서 발급서비스를 이르면 내년 2월 초부터 유료로 전환키로 합의했다. 공인인증기관들은 인증서의 유효기간을 1년으로 했다. 발급 요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5천원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료화 시기 이후에 개인용 공인인증서를 신규로 발급받거나 갱신할 경우엔 1년 단위로 요금을 내고 사용해야 한다. KISA 관계자는 "개인용 공인인증서는 지난 3년간 무료로 발급해왔으나 보다 안전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유료화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발급받은 인증서 기간이 남은 이용자는 잔여 유효기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요금을 내면 된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상에서의 신분증이나 인감 역할을 하는 공인인증서는 인터넷뱅킹,온라인 주식거래 등 금융증권 분야뿐 아니라 전자정부 민원서비스와 일반 인터넷사이트에서의 신원 확인용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전자서명법에 의해 지정받은 한국정보인증 한국증권전산 금융결제원 한국전자인증 한국무역정보통신 한국전산원이 발급하고 있다. 이중 한국전산원은 정부나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만 인증서를 발급하므로 실제 개인용 인증서 발급기관은 5개인 셈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앞으로 온라인 대학입시 원서접수,인터넷 주주총회 등으로 활용영역이 넓어지고 특히 당장 내년부터 신용카드로 10만원 이상 결제시 인증서로 확인해야 하는 등 개인용 공인인증서에 대한 수요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결제원과 증권전산 등 일부 기관에만 편향된 인증서 발급 관행으로 나머지 기관은 별다른 실익이 없을 것이라고 업계에선 지적하고 있다. 고성연 기자amaz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