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신한 산업 등 국내 주요 은행들이 SK㈜의 자사주 7%를 사들여 소버린자산운용의 SK㈜ 경영권 인수시도를 막는 이른바 '백기사'로 나서기로 했다. 이에 따라 SK그룹은 SK㈜ 전체 의결권의 30% 이상을 확보,경영권을 지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17일 SK그룹과 금융계에 따르면 하나 신한 산업 등 주요 은행들은 최근 SK㈜의 자사주 10.41% 가운데 7%를 매입키로 결의하고 각 은행별로 내부 의결절차에 들어갔다. 나머지 4%가량은 SK㈜의 또 다른 우호세력이 사들일 예정이다. SK㈜도 18일 이사회를 열어 자사주 매각을 결의키로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하나은행은 SK그룹의 주거래은행이고 신한 산업 등 나머지 은행들도 SK그룹과 거래가 많다"며 "국가기간산업체인 SK㈜와 SK텔레콤의 경영권이 외국계 투기자본에 넘어가는 것은 국가경제는 물론 은행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해 경영권 방어를 돕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추후 SK㈜에 은행들을 대표하는 사외이사를 파견해 SK그룹 구조조정과 SK네트웍스 경영정상화를 감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증권계는 △이들 은행 모두가 SK네트웍스 채권단의 일원이라는 점 △소버린이 SK㈜에 SK네트웍스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라고 일관되게 요구해온 점 등에 주목하며 SK네트웍스 채권단 차원의 집단적 의사결정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즉 소버린이 SK㈜의 경영권을 장악할 경우 SK네트웍스는 매출의 75%를 의존하고 있는 최대거래처를 잃게되며 이는 은행들에도 큰 손해를 안겨줄 것이라고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소버린은 SK㈜ 지분 14.99%를 보유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한 우호지분이 11%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SK㈜의 외국인 지분율은 17일 현재 43.32%다. 반면 SK그룹측 지분은 최태원 회장과 계열사 지분 15.93%,우리사주 4.3% 등 20% 정도다. 자사주 10.41%는 지금은 의결권이 없으나 은행과 우호세력에 모두 매각하면 의결권이 살아나 지분율을 30%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지난 10월 SK네트웍스가 우호기관에 매각한 해외파킹주식 지분까지 합치면 현 경영진측 지분율은 35%에 육박한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