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2일자) 왜 계층간 갈등이 커지기만 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참여정부 출범 1주년을 맞아 본사가 LG경제연구원과 함께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노사·계층·세대간 이념갈등이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힌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마디로 말해서 이는 극심한 국정혼란에 대한 국민들의 심각한 우려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정책방향을 둘러싼 시각차와 마찰은 항상 있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시각차가 '이념갈등'으로까지 비쳐지는 까닭은,집단간 이해대립이 원만하게 조정·수렴되기는커녕 오히려 갈수록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사회내 갈등이 극단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배경에는,확고한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인기영합에만 급급한 현 정부의 책임도 크다고 본다.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노사분규는 말할 것도 없고, NEIS갈등 부안사태 새만금공사중단 등 크고 작은 현안들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정당국이 소수 이익집단의 목소리에 매몰돼 도무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이러니 전국 대학교수들이 올 한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우왕좌왕'(右往左往)을 선정한 것도 결코 우연은 아니다.
현 집권층은 현실감 없는 명분에만 치우친 나머지 지나치게 기대심리를 키워주는 바람에 갈등을 부채질 했다는 걸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더욱 한심한 건 이해집단간 마찰을 해소시키고 국론분열을 막는데 누구보다 앞장서야 할 정치권이, 오히려 이를 조장하거나 증폭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가 경제성장을 돕기는커녕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는 셈이다.
이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가 내년도 경제안정을 위협하는 내부요인으로 '정치불안'을 첫번째로 지적한 대목에서도 확인된다.
정치권은 내부갈등을 추스르고 국정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벗고 나서야 마땅하다.
중국경제의 급부상과 제조업공동화 등 국내외 여건의 급변을 감안하면,소모적인 갈등에 따른 국력낭비는 없어야 한다.
거듭 강조하지만 우리는 지금 경제·사회적으로 중대한 기로에 서있다.
국력신장을 위해 남은 시간이 별로 없는 만큼,정부는 경제를 살리고 사회를 안정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옳다.
우선 노사관계를 안정시키고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해 기업활력을 북돋워야 한다.
그래야만 일자리가 많이 생기고 가계부채가 줄어들며 침체된 내수소비도 살아날 수 있다.
정부는 하루빨리 국정방향을 분명히 하고 예측가능한 정책을 폄으로써 더이상의 국정혼란을 막아야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