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국가들이 취업절차를 간소화하고 특별비자를 발급하는 등 외국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경제가 발전하려면 해외 고급 두뇌를 과감히 끌어들여야 한다는 현실을 인식해 외국인 취업 규제 완화,비자제도 개선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 대만 정부는 21일 "첨단 산업분야에서 석·박사급 해외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외국인 취업에 대한 규제를 대폭 완화 할 것"이라며 "외국인 취업과 관련한 구체적 지원 방안은 24일께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만은 이를 위해 내년부터 외국인 취업 희망자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별기구를 설치·운영키로 했으며 그동안 11개 부처로 분산돼 있던 취업허가 업무도 일원화한다는 방침이다. 중국도 이달 초 외국인 전문가와 거액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영주권을 발급해 주는 그린카드 규정을 마련,국무원에 제출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한 외국인에게 예외적으로 영주권을 내준 적은 있지만 중앙부처 차원에서 이를 제도화하겠다는 것이다. 후진타오 국가주석도 최근 전국인재공작회의에서 "당과 정부,기업 경영,전문기술 등 3대 분야에 대한 인재 양성에 힘을 쏟아 13억 인구 대국을 '인재강국'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강조,외국인 인재유치 활동에 힘을 실어줬다. 외국 기업인 유치를 위해 비자제도를 개정하는 국가도 늘고 있다. 싱가포르는 지난 10월31일부터 '엔트레패스'비자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엔트레패스는 외국 기업인들이 제출한 사업 계획서의 타당성과 자금동원 전망 등을 평가,입국비자 발급 대상을 결정하는 프로그램으로 유효기간은 2년이며 추가로 3년간 연장이 가능하다. 극히 제한적으로 거류비자를 발급해 오던 그동안의 관행을 감안하면 엄청난 변화다. 프랑스 정부도 얼마 전 외국기업 주재원에 대한 비자 거주증 노동허가증 등의 발급 절차를 대폭 간소화 했다. 또 '국제이민청'을 신설,외국인 고급 두뇌의 프랑스 내 취업을 적극 알선해 주고 있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