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철공사가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 땅으로 꼽히는 지하철 4호선 사당역 네거리 임시주차장 부지(5천3백50평)와 3호선 수서역 네거리 주차장 부지(6천4백25평)에 환승시설을 갖춘 대형 주상복합 빌딩 단지를 세운다. 또 3호선 학여울역 중소기업 전시장 부지(1만7백평)와 군자 차량기지(8만5천평),창동 차량기지(5만4천평)에도 주상복합 단지를 만드는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 중이다. 하지만 서울시 지하철공사가 업무와 전혀 관련이 없는 부동산 개발사업에 뛰어드는 데다 서울시가 수천억원의 개발이익이 기대되는 사업을 정당한 절차 없이 지하철공사측에 넘긴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 전망이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9일 지하철공사 노사가 경영개선 방안 등을 담은 '21세기 새로운 지하철 발전도약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함에 따라 시유지인 사당역 및 수서역 주차장 부지를 공시지가 수준에 제공키로 했다. 이는 최근 이명박 시장이 "공사노조가 향후 구조조정에 합의할 경우 해당 부지를 넘겨주겠다"고 약속한 데 따른 것으로 개발이익으로 지하철공사의 부채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시 관계자는 "금싸라기 땅을 공시지가에 매입한 뒤 주상복합 건물을 지어 되파는 만큼 공사에 수천억원의 개발이익이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경쟁입찰 등 정당한 절차 없이 시 소유 자산을 공사측에 넘기는 것은 서울시의 직무유기"이며 "지하철 부채 문제는 좀더 명확한 절차와 여론 수렴 과정을 통해 해결돼야 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한편 공사는 지난 19일 노조와 협약서를 체결함에 따라 내년부터 본격적인 구조조정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우선 불필요한 야근 업무를 없애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역사시설에서 직원들이 숙박하는 것을 전면 금지키로 했다. 공사는 이같은 업무 조정을 통해 내년 7월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인력(1천4백명 규모)을 뽑지 않고 자체 흡수할 계획이다. 또 역무,중정비 업무 등을 아웃소싱하고 출고점검 등 불필요한 작업을 없애 모두 2천7백73억원을 절감하기로 했다. 강경호 지하철공사 사장은 "인력감축과 임금 인하를 제외한 다양한 구조조정 수단을 동원해 3년내 공사경영을 흑자로 돌리겠다"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