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업체들, 리비아시장 잡아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리비아의 대량살상무기(WMD) 포기 선언으로 이라크전 이후 불붙기 시작한 중동·아프리카 특수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재계는 특히 유엔의 경제제재 조치 해제에 이어 미국도 곧 리비아에 대한 경제봉쇄 조치를 풀 것으로 보고 오일머니 선점을 위한 본격 채비에 나섰다.
특히 국내 업체들은 건설·플랜트시장과 가전시장을 상당 부분 장악하고 있어 노력에 따라 큰 실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라크에 버금가는 기회의 땅
강연웅 해외건설협회 플랜트지원실장은 "미국의 경제봉쇄가 해제되면 세계7위 산유국인 리비아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라며 "2010년 월드컵 티켓이 리비아튀니지연합에 돌아갈 경우 월드컵 특수도 기대할 만하다"고 말했다.
정영화 KOTRA 트리폴리 무역관장도 "지난 9월 유엔의 대 리비아 경제제재 해제 소식이 전해진 뒤 리비아 국민들은 '이제 본격적으로 세계무대에 나서게 되었다'며 한껏 기대에 부풀어 있다"며 현지의 고무적 분위기를 전했다.
세계 7대 산유국이지만 기존 정유시설이 대부분 노후화돼 있어 교체수요가 예상되며 도로 등 인프라에서도 잠재 수요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특히 리비아에서 한국 건설업체들의 경쟁력이 높아 추가 수주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미국과 유럽기업들은 그동안 미국 정부의 엠바고(경제제재 조치)로 진출을 꺼려온 상태.
그러나 국내 건설사들은 올들어서만도 대우건설이 2억9천만달러 규모의 벵가지 북부화력발전소 공사를,현대건설이 2억8천만달러 규모의 자이아 복합화력발전소를 각각 수주했으며,11억달러에 달하는 걸프스팀 파워프로젝트 입찰에도 참여하고 있다.
반면 경제제재가 풀리면 파이를 나눠야 하는 단점도 있다.
KOTRA의 정 관장은 "그동안 리비아 진출을 모색하고 있던 유럽계 회사들의 본격적인 시장 진출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자동차·가전 시장도 유망
한국제품의 시장점유율과 인지도가 높아 개방에 따른 과실을 상당부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접국인 튀니지를 통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리비아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LG전자는 시장점유율 65%인 에어컨과 더불어 세탁기 모니터 판매도 주력할 방침이다.
세탁기 부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우일렉트로닉스도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그동안 경제제재와 고율의 관세 등으로 리비아가 매출 비중이 큰 시장은 아니었지만 잠재성은 큰 것으로 보고 중동지역 히트 상품인 휴대폰 판매 등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그동안 미국의 엠바고 조치로 관납형태의 제한적인 우회수출만 해왔다.
그러나 엠바고가 풀리면 내년부터 본격적인 수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1월에는 현지대리점도 개설했다.
GM대우는 과거 대우차 시절의 수출물량을 만회한다는 계획이다.
GM대우는 과거 운영하던 현지 조립공장이 현지인 소유로 넘어갔으나 관계를 회복하는 데 주력해 녹다운(현지 조립) 수출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김병일·김홍열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