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랍 31일 이라크 남부 바스라에서 한국인 한 명이 피격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외교통상부는 정초부터 사실여부 확인과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외교부 이광재(李光宰) 아중동국장과 김욱(金旭) 재외국민영사국장을 비롯한 아중동국 및 영사국 직원들은 31일 밤 10시 외교부 청사로 나와 밤을 꼬박 새우며 상황파악에 나섰다. 외교부 청사 기자실에는 각 언론사 보도진이 몰려들어 심야에 때아닌 북새통을 이뤘고 이광재 아중동국장은 1일 새벽 1시 15분 주이라크대사관이 보고한 공식전문 등을 토대로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아랍어 위성방송 알 자지라는 승합차를 포함한 두 대의 자동차가 나시리야 인근 도로에서 총격을 받아 한국인 1명이 사망했다고 1일 보도했지만 외교부는 주이라크 대사관 직원을 현지에 파견, 정확한 조사를 해야만 한국인 피해 여부를 알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외교부는 지난해 11월 30일 오무전기 직원 2명이 이라크 북부 티크리트 인근에서 피격, 사망한 이후 한달만인 구랍 31일 다시 한국인 피격 가능성이 대두되고 오무전기 직원 등 10여명이 바그다드의 대형 폭탄테러 현장 인근에서 간신히 참변을 모면한 사실이 보도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 17일 정부의 이라크 추가파병 세부계획이 발표된 직후 만의 하나 테러 가능성에 대비, 이라크 등 중동지역 공관에 대한 보안점검을 벌이는 등 교민안전 대책을 강화해왔지만 한계가 드러났기때문이다. 외교부는 그동안 공관직원 등 필수요원을 제외한 국민들은 가급적 이라크에서 출국해줄 것을 당부해왔으나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라크에는 언론사 특파원 17명을 포함, 모두 100명 가량의 한국인이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라크에 한국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강제할 방법이 사실상 없다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출국자들이 최종 목적지를 이라크가 아닌 요르단이나 쿠웨이트로 밝히는 경우가 많은 데다 이라크 당국에 한국인에 대해 비자심사를 강화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외교부는 이에 따라 이라크내 테러 위험성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이라크 입국을 자제해줄 것을 다시 한번 국민에게 당부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