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동북아시아 3국의 초상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위대한 얼굴-한·중·일 초상화 대전'은 이들 3개국의 국보급 전통 초상화를 비교 감상하는 이색 전시회다. 국보 240호인 '윤두서자화상'을 비롯한 조선시대 초상화 36점,명·청대 대형 초상화부터 일반인에 이르기까지의 중국 초상화 56점,에도시대 다이묘(大名)·무사들을 그린 일본 초상화 10점이 출품됐다. 서울시립미술관측은 "한국 초상화가 단아하면서도 사실적인 인물 묘사에 치중한 데 반해 중국은 다양한 양식에 옷과 장신구 가구들의 화려함이,일본은 극적인 변형과 과장이 두드러진다"고 설명했다. 18세기 선비 윤두서(1668~1715)의 자화상은 자신의 힘들었던 인생 여정을 반영하듯 위엄이 서려 있다. 이하응 황희 고종황제 순종황제의 초상화를 비롯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보물 594호 '최덕지 초상',보물 693호 '기사계첩'등이 전시돼 유교적 충효사상으로 대표되는 조선시대의 정신문화까지 살필 수 있게 한다. 명·청대의 '문관초상'은 복장이 조선의 고관 복장과 흡사한 게 특징이다. 청대에 그려진 '문관초상'은 정대 귀족의 전형적인 복장을 하고 있는 대표적 초상화로 높이가 2m가 넘는 대작이다. 청말 작품인 '왕씨선세초상(汪氏先世肖像)'은 남자 7명,여자 8명을 한꺼번에 그린 집단 초상화다. 당시 가문을 알리고 한 장에 여러 명을 담아 경제적 부담도 줄인다는 의미에서 유행했다고 한다. 일본 초상화인 '구로다 조스이상'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도와 다이묘가 된 구로다 조스이(1546~1604)를 그린 것이다. 한편 이번 전시에는 조선왕실에서 전해 내려온 '역대 명인 초상화첩'이 공개됐다. 19.5×29.7㎝ 크기로 4권으로 돼 있으며 중국과 우리나라의 위인 2백20명의 초상과 약력이 수록돼 있다. 중국 전설상의 시조 반고(盤古)로부터 조선의 김시습에 이르기까지 역사책에서 봐왔던 인물들을 시대별로 구분해 위인들의 업적을 후세에 알려줘 모범을 따르게 했다. 이 화첩은 진본이 아닌 이모(移模)본으로 그 존재가 알려져 왔으나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3월14일까지.입장료 어른 9천원,청소년 7천원,어린이 5천원.(02)730-4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