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부터 최장 90일간의 수사에 착수할 `대통령 측근비리' 김진흥 특검팀은 이달 중순에야 주요 관계자 소환 등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서울 반포동 특검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가진 김 특검은 "수사착수 후 첫 10일간은 기록검토를 하고 40일간 수사를 벌인 뒤 10일간 정리기간을 가질 것"이라고밝혀 오는 15일까지는 자료를 검토하는데 치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오는 15일까지 주변 참고인 일부는 불러 조사할 가능성이있지만 주요 피의자 소환 등 관심을 끌만한 수사보다는 기록검토 및 관계자 출국금지 등 물밑작업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수사 개시일에 주요 피의자의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하는 등 초반부터 발빠른 행보를 보였던 작년 대북송금 의혹사건 송두환 특별검사팀에 비해 수사템포는 다소 늦어질 전망이다. 송특검은 작년 3월26일 선임돼 수사팀 주력인 특검보 및 파견검사 인선을 현판식 7일 전에 마치고 수사개시 이전부터 자료검토에 들어갔지만 이번 특검은 이날 현재까지 사건관련 기록을 넘겨받지 못한 상태다. 또한 이번 사건이 앞선 다른 특검과 달리 3개 사건을 다루는 데다 검찰이 앞서상당부분 수사를 벌였던 사안들을 취급하는 까닭에 자료를 넘겨받더라도 검토에 상당한 시간소요가 불가피하다. 현재 특검팀은 20명의 파견공무원 인선은 마쳤으나 각 사건별로 16명씩 총 48명까지 선임할 수 있는 특별수사관은 현재까지 자금추적 요원을 중심으로 총 7-8명만영입한 상황. 특검팀은 이와 관련해 "수사 단계별로 필요할 때마다 특별수사관을 충원할 계획"이라고 밝혀 이달 하순께야 총 70명대에 이르는 매머드급 수사팀의 진용을 완성할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기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