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이 시작되는 7일 낮 12시30분. 한국번디 평택공장의 사무직 직원들은 이때부터 구내식당이 아닌 공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점심식사를 하는 생산직원들을 대신해 한 시간 동안 공장을 가동하기 위해서다. 넥타이를 맨 이들은 도금과 싱글튜브(single tube) 라인에 투입돼 자재 공급부터 생산, 제품 분류 및 출하 등 생산직과 똑같은 일을 했다. 이 회사 전체 2백1명의 직원중 사무직은 60명. 외근 영업직을 제외한 42명은 매주 월요일 출근과 함께 3개조로 나눠진 생산근무 스케줄을 받아 생산에 직접 참여한다. 중식시간 근무조인 1개조 14명은 매일 오후 1시30분부터 2시 사이에 점심식사를 한다. "도금라인 1개를 한 시간가량 쉴 경우 8백m의 생산 손실이 발생합니다. 1m당 가격이 2백30원이니까 18만원의 매출이 줄어들죠. 전체 라인이 쉬면 손실은 더 커집니다. 점심시간에 공장을 세울 경우 연간 3억원의 매출이 감소합니다. 평균 영업이익률 17%를 적용할 경우 5천만원의 이익이 허공으로 사라집니다."(조병곤 공장장) 이 회사는 관리직 대졸 신입사원들도 입사 후 한 달간은 생산현장에서 근무해야 한다. 모든 사무직은 생산에 필요한 기술교육을 받고 일요일과 공휴일에도 생산에 투입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물론 이들 관리직에게는 시간당 1.5배의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한다. ◆ 1인당 매출액 4년 만에 2.7배 증가 이 회사의 1995년 매출은 1백90억원. 당시 직원은 2백30명이었다. 지난해 매출은 8백30억원으로 4배 이상 급증했다. 하지만 직원 수는 2백1명으로 10% 이상 줄었다. 비결은 생산성 향상의 25%를 직원에게 지급하는 인센티브제도 도입. 나머지 75%는 고객과 주주 회사를 위해 배분된다. 고객사에는 가격 인하로, 주주에게는 투자금 회수를 위한 배당으로, 회사에는 미래투자 자금 확보를 위해 모든 경영주체가 25%씩 초과이익을 나눠 갖는 것이다. 생산성 인센티브제도를 실시하면서 95년 4명이 투입되는 싱글튜브 1개 생산라인의 경우 생산성이 1일 1백10m에서 1백30m로 늘었다. 20m의 생산성 증가에 따른 매출과 이익 증가분의 25%를 직원에게 현금으로 돌려주는 '캐시백(cash-back)'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전 생산라인에서 경쟁적으로 생산성 향상운동이 전개됐다. 물론 이듬해부터 인센티브 지급을 위한 생산성 기준은 1일 1백30m로 상향 조정됐다. 이 결과 97년 생산량은 다시 1백50m로 늘어났고 99년에는 1백65m로, 2001년에는 1백95m로 증가했다. 동일한 설비에 똑같은 인원으로 77%의 단위생산성을 높인 것. 1인당 매출액은 98년 1억5천2백만원에서 2002년 4억1천4백만원으로 2백72% 늘어났다. 같은 기간 회사 전체 매출액도 2백74억원에서 5백69억원으로 증가했다. "종업원들의 자발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한 연간 매출 증가액만 30억원이 넘습니다. 이 중 25%를 종업원에게 돌려주니까 총액으로 8억원, 생산직 1인당 6백만원 꼴입니다."(김용무 관리팀장) ◆ 계열사 평가 꼴찌에서 4년 연속 1위로 한국번디는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 요구와 원자재 가격인상이라는 틈바구니에 끼인 전형적인 '샌드위치 기업'이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기아차 등 대기업의 'CR(Cost Reductionㆍ비용감소)' 정책에 따라 매년 판매가격을 2∼3%씩 내려줘야 하는 상황이다. 반면 포스코에서 받아오는 원자재 가격은 최근 3년간 12%나 올랐다. 이 상황에서 어떻게 매출과 이익의 성장이 가능할까. "단위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이를 흡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매출액 매년 20% 이상 성장, 경상이익률 10% 이상 유지, 매출 원가율 80% 이하 확보, 불량률 30% 이상 감소가 필수 생존조건입니다."(최용섭 품질보증팀장) 95년까지만 해도 세아그룹 17개 계열사 평가순위에서 꼴찌를 도맡았던 이 회사는 이같은 생산성 향상운동을 펼친 결과 최근 4년 연속 평가 1위를 받는 우량 계열사로 탈바꿈했다. 지난해 기준 부채비율은 31.1%에 불과하고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1.1%에 이를 정도로 알짜회사로 바뀌었다. ◆ 이직률 제로, 정년도 1년 연장 한국번디의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연봉은 2천7백만원. 생산직은 2천1백만원이지만 잔업수당과 생산성 인센티브까지 포함하면 3천만원이 넘는다. 평택국가산업단지 내에서 대기업을 통틀어 최고 수준이다. 생산원가중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에 달한다. 물론 월평균 80시간의 잔업과 24시간 2교대 체제에서 1주 단위로 밤과 낮이 바뀌는 근무시스템을 견뎌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의 이직률은 제로. 올해는 정년을 56세에서 57세로 1년 연장할 계획이다. 생산직 평균 연령은 38세, 평균 근무연수는 8.5년으로 제조인력의 노령화 역시 이 회사가 앞으로 헤쳐 나가야 할 과제다. "돈이 전부는 아닙니다. 관리직을 일요일 점심시간 외에도 생산에 투입할 때 반발도 적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성과를 만들어 연말에 나누는 기쁨을 누리자고 설득했죠. 명확한 보상과 동기 부여, 직원들간의 신뢰와 유대감이 정말 중요합니다. 우리는 관리직 간부들도 생산직 말단사원에게 왜 잔업을 제 시간에 하지 않느냐고 감시하지 않습니다."(김시원 부회장) 평택=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