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공계 출신 미취업 석사와 박사 1천3백명을 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의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시키기로 했다. 또한 이공계 석·박사의 군복무 대체제도인 전문연구요원의 복무기간을 현행 3년10개월에서 3년으로 단축시킬 방침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7일 과학기술인 8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최 과학기술인 신년 인사회에 참석,"차세대 성장동력이 되는 핵심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창의적 핵심 인재가 산·학·연에 널리 활용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노 대통령은 또 "우리나라가 동북아 연구개발 기지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해외의 유수 연구기관을 유치하고 성숙단계에 들어선 연구단지를 '연구개발특구'로 육성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계의 대덕연구단지 특구 지정 요청을 받아들이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이어 "과학기술부가 과학기술정책과 산업정책,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책임과 권한을 높여나갈 것"이라면서 "국가과학기술위의 역할과 위상을 강화해 기획,조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국가연구개발체계를 성과 중심으로 개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개발과 차세대 성장동력사업 추진 등과 관련한 정부 부처간 업무시스템의 큰 틀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인 기초과학을 꾸준히 진흥시키겠다"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자의 사기 진작,우수 청소년의 이공계 진학 유도,이공계 전공자의 공직 진출 확대,이공계 대학생에 대한 장학금 지원 확대에 각별한 관심을 갖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과학기술계 인사들은 "올 국정의 최대 과제가 이공계 살리기임을 확인했다"며 "이공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입을 모았다. 오춘호.허원순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