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증시는 여느 해보다 시장외적 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을 전망이다. 실제 북핵 문제,이라크 파병,17대 총선 등 국내외적으로 굵직한 사안들이 예정돼 있다. 이들 사안은 진행 방향과 결과에 따라 증시는 물론 우리 경제 전체에 메가톤급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입장에서도 눈여겨 봐야 한다. 사스(SARS·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 등 신종 질병도 관련 업종의 희비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남북 문제=북한 핵무기 개발을 둘러싼 6자회담이 핫 이슈다. 현재로서는 회담 일정이나 결과가 모두 불투명하다. 체제 보장과 핵 사찰에 대한 각국의 이해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이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정학적 불안 요인으로 인한 '코리아 리스크'는 언제 불거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미국의 무디스는 작년 말 북한의 핵무기 개발 가능성이 한국의 신용등급을 제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올해부터 시작될 개성공단 시범운영이나 금강산 육로관광 확대 등은 긴장관계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라크 파병=호재와 악재가 뒤섞여 있다. 한·미관계와 대외신인도 개선으로 외국인의 투자심리가 안정될 것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다. 외국인 지분이 40%를 넘는 국내 증시의 구조상 이 같은 효과는 무시할 수 없다. 국내 기업들의 이라크 전후 복구사업 참여와 미수금 회수 가능성이 높아지는 점도 플러스 요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이 따낼 수 있는 전후 복구사업 규모를 10억달러 정도로 추산했다. 이라크 미수금은 17억2백40만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국군의 피해가 커지거나 한국에서 테러 위협이 증가하는 것은 부정적이다. 중동지역에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 ◆17대 총선=증시에는 일단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총선 정국에서 선심성 정책이 난무하고 정치적 이해관계가 걸린 개혁정책들이 표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회 갈등이 격화될 수 있는 점도 부담이다. 더구나 정치권 비리와 대선자금 수사로 정부가 국정 운영의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신종 질병=최근 사스 광우병 조류독감 등 각종 질병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뚜렷한 원인도 치료방법도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때문에 이 같은 질병이 터져 나올 때마다 관련 업종이 들썩거릴 수 있다. 사스로 항공산업과 관광산업이 타격을 입었고 광우병과 조류독감으로 식품업체들의 명암이 엇갈린 게 대표적이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