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에 대한 관료들의 저항이 심각합니다. 특히 지방 세무관리들은 자신들의 권한과 이익을 지키기 위해 발버둥치고 있습니다." 아디티야 무케르지 네루대 교수는 인도 공무원들의 부정부패를 열악한 인프라, 힌두ㆍ이슬람간 종교갈등 등과 함께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통한 인도 경제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무케르지 교수가 지적한 부정부패와 관련, 인도에는 '바크시시'라는 말이 있다. 닫힌 문을 열어주고 잃어버린 편지를 찾아주는 등 작은 기적을 만든다는 의미의 바크시시는 공무원의 부정부패를 가리키는 은어로 통용되고 있다. 바크시시의 사례는 한국기업을 포함, 인도에 진출한 외국기업인들로부터 어렵지 않게 전해들을 수 있다. "회계감사를 1년에 네 차례나 받고 있어요. 한번 회계감사를 나오면 20명 정도가 공장에 와서 버팁니다. 한마디로 기업하기 힘든 나라라는 생각이 들 때도 많습니다."(제조업체 A사 관계자) "인도 정부로부터 공사대금을 받을게 있어 담당 공무원을 만나러 갔었습니다. 그는 원래 6개월 이내에만 주면 되는 돈이지만 당장 줄 수도 있다며 빨리 줄테니 이 돈의 이자소득 일부를 자신에게 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더군요."(건설업체 B사 관계자) "한 세무공무원이 건네준 명함을 받고 깜짝 놀랐어요. 그 명함에는 이름과 집 전화번호밖에 없더라고요. 집으로 돈을 갔다달라는 의미입니다."(무역업체 C사 관계자) 외국기업인들의 이같은 하소연에 대해 외국인 투자유치 업무를 맡고 있는 바네지 재무부 경제국장은 "빈번한 회계감사 같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점은 인정한다"며 "하지만 인도는 다른 개발도상국에 비해 의사결정과정 등이 상대적으로 민주적이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기업활동을 하기에 좀 더 나은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티쉬 카우라 삼텔컬러 회장은 "외자를 유치해 경제발전을 이루자는데 대해 인도 지도층은 분명한 공감대를 가지고 있다"며 "이 방향으로 나가는데 방해가 되는게 있다면 확실하게 해소시키자는 것도 인도 정부와 기업의 분명한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뉴델리=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