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불법대선자금 수수 혐의로 검찰에 구속된 김영일(金榮馹) 전 사무총장에 대한 4.15 총선 후보공천 여부를 놓고 내부 논란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 일각에서는 김 전 총장이 개인비리가 아니라 당을 위한 대선자금 문제로사법처리됐고, 지역구 기반도 비교적 탄탄하다는 점 등을 들어 공천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비리연루자는 공천배제'라는 당의 방침을 내세워 공천배제를 주장하고 있다. 김 전 총장의 공천을 반대하는 목소리는 주로 소장.개혁파와 공천심사위쪽에서흘러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11일 "김 전 총장이 개인비리가 아니라 당의 대선승리를 위해일하다가 검찰에 구속된 만큼 `옥중출마'라도 할 수 있게끔 공천을 줘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이렇게 되면 `비리연루자 공천 배제'라는 당의 방침이 흔들리게 된다"며 "초.재선 의원 위주로 구성된 공천심사위 쪽에 이런 기류가 다소 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당 공천심사위원장인 김문수(金文洙) 의원은 10일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아직 시간이 있는 만큼 좀더 지켜보자"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지만 최근 한 사석에서 "어쨌든 김 전 총장이 비리연루자라는 점에서 공천은 쉽지 않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 일각의 반론도 만만치 않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김 전 총장이 구속수감된 10일 그에 대한 공천 여부에 대해 "좀더 지켜보자"면서도 "김 전 총장이 개인비리에 연루된 것은 아니지 않느냐"며 후보공천이 가능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앞서 최 대표는 지난 6일 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김 전 총장은 옥중출마를 해도 김해에서 당선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지도부 일각의 이같은 기류에는 김 전 총장에게 공천을 보장함으로써 한나라당을 상대로 한 검찰의 `출구조사'를 견제하고, 김 전 총장을 `희생양'으로 부각시켜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을 배출한 김해지역의 정서를 자극, 여권의 `동진(東進)'을저지하겠다는 전략도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김 전 총장 공천문제를 둘러싼 이같은 당내 논란에 대해 공천심사위 소속 외부인사들도 선뜻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한동안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공천심사위원인 소설가 이문열(李文烈)씨는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김 전 총장 공천문제는 민감한 문제라 고민하고 있다"며 "한달 안에 구체적인 원칙을 세울 것"이라고 답변을 유보했다. 이씨는 그러나 "한나라당의 인적쇄신과 개혁을 위해서는 과거에 치우치는 배제의 논리보다 현재와 미래를 위한 영입과 수용의 논리 개발이 우선돼야 한다"며 "한나라당이 영입과 수용의 논리 개발을 제쳐놓고 과거지향적인 배제의 논리에 집착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서울=연합뉴스) 문병훈기자 b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