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11일 정동영(鄭東泳) 의원을 당대표격인 의장으로 선출, 새지도부가 출범하게 됨에 따라 향후 열린우리당과 청와대및 정부와의 관계 설정이 주목된다. 그동안 우리당이 사실상 여당 역할을 해온 것은 사실이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입당하지 않은 탓에 여당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갖추지 못했을 뿐아니라,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었다. 하지만 정 의장을 중심으로 지도부가 새롭게 꾸려짐에 따라 우리당은 `당정(黨政) 협의체'로 상징되는 공식적이고 긴밀한 당정관계를 모색하는데 주력할 것으로관측된다. 특히 정 의장이 평소 "여당없는 책임정치란 있을 수 없다"며 "노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책임을 지고 국정을 끌고 가겠다고 밝히고, 정면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직.간접적으로 노 대통령의 입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당측이 그동안 "총선을 앞두고 청와대와 `코드'가 맞아야 한다"며 `당정간비공식 협의채널' 개설 필요성을 주장해 온 것도 노 대통령의 입당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노 대통령이 입당 시기에 대해 "특검과 검찰수사가 끝난 뒤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을 밝힌 데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밝혀 현단계에서 `조기 입당'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 대통령의 우리당 입당 자체는 기정사실로 굳어진 만큼 우리당의 요구대로 새 지도부와의 `비공식 협의채널'를 가동함으로써 향후 공식적인 당정 관계를 대비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즉, '열린우리당 새지도부 선출 →비공식 협의채널 가동 →대통령 입당 →공식적 당정협의체 부활'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4월 총선을앞두고 최대의 정치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전략적 판단에 따라 각각의 시행시기가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과정에서 노 대통령의 `총선 역할론', `총선 개입론'의 비난에 직면할수 있는 만큼 이같은 정치권내 논쟁을 불식시키는 작업도 함께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