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대량맞춤 시대다' 대량맞춤(Mass Customization)은 언뜻 모순처럼 보이나 '나만의..'라는 개성을추구하는 고객의 욕구와 맞아떨어지면서 새로운 마케팅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미국 마케팅의 최근 동향과 국내에의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미국시장에서 대량맞춤이 고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있다"면서 "정부와 업계 모두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준비를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나이키의 경우 10달러의 추가비용으로 모양, 소재, 색상 등을 직접 설계할 수있고 이름까지 새겨 세계에 단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운동화'를 제작하고 있다. 남성복 브랜드 '브룩스 브라더스' 뉴욕매장에서는 바디스캐너를 통해 12초만에고객의 다양한 치수를 측정하고 쇼룸에서 원하는 색상, 디자인, 직물 등을 선택해 3주 뒤에 '나만의 정장'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마케팅을 펴고있다. 의류 전문 컨설팅업체 KSA 조사에서는 미국 소비자의 36%가 대량맞춤 옷에 12∼15%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컴퓨터 역시 고객이 직접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사양을 조합해 컴퓨터를 주문할 수 있게 하고있으며 대량맞춤 방식의 판매가 전체 매출의 50%를 넘어설 정도로인기를 끌고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국내시장에서도 맞춤형 케이크, 맞춤형 부엌가구, 피부 맞춤형 화장품 등 대량맞춤 방식을 도입하는 업체가 서서히 늘고있으나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에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이 보고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카탈로그 등 여러 유통채널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이른바 '다채널 점포'가 시장의 승자로 부상하는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순수 온라인 점포의 매출성장률은 13%에 불과한 반면 다채널 점포 매출은 이보다 4배 이상 높은 5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대한상의 유통물류팀 임복순 팀장은 "순수 온라인점포의 수익성이 낮은 이유는상품을 직접 보지못한 상태에서 주문을 한다는 불안감 때문일 것"이라면서 "고객이직접 상품을 만지고 볼 수 있도록 전시매장의 오픈 등 판매채널 다양화를 조심스럽게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eomn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