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가 외환 위기 이후 금융 체계 안정을 위해 은행 대형화를 추진해 왔으나 사실은 은행 덩치가 커질수록 안전성은 떨어진다는분석이 나왔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15일 `은행의 대형화와 은행 부실 위험'이라는 연구보고서에서 지난 2000년부터 작년 3.4분기까지 은행의 주가를 분석한결과 대형 은행일수록 주가의 등락이 거듭되는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가 변동성은 기업이 증권시장에서 위험하고 불안정하다는 평가를 받을수록 크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김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그는 이번 연구 결과가 은행이 대형화되고 시장 지배력이 강화될수록 공격적이고 위험한 방식으로 자산을 운용해 부실 위험이 커진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그는 무수익 여신 비율이나 대손충당금 비율 등 일반적인 자산 건전성 지표로는은행의 규모와 부실 위험과의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지만 그렇다고 대형 은행이더 안전하다는 징후도 엿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은행의 건전성이 규모에 관계 없이 모두 경기나 금융시장 상황 등에 민감하게 변화하는 점으로 미뤄 우리 나라 은행들의 위험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외환 위기 이후 은행 수가 너무 많은 것이 은행산업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는 진단에 따라 정부가 대형화 정책을 취해 왔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형 은행의 도산은 전체 금융 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므로감독 당국은 재무제표 뿐 아니라 후순위채 금리 등 증시에서 나오는 건전성 지표까지 포함해 더 정교한 위험 분석 모델을 만들어 위험도를 측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이어 대형 은행들이 예금보험제도를 믿고 도덕적 해이에 빠지지 않도록 예금보험료율을 위험 수준에 따라 차등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기자 mercie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