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15~29세) 실업률이 지난해말 8.6%로 치솟는 등 젊은 층의 일자리 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경기 침체에다 신규 취업문을 좁히는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으로 청년 일자리수는 지난해 19만여개 감소, '이태백(이십대의 태반이 백수)'이라는 말이 괜한 것이 아님을 확인케 했다.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일자리를 새로 만들기로 하는 등 청년 실업난을 줄이기 위한 방책을 내놓았으나 실업 한파를 녹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 청년 취업자수 3년 연속 감소 청년 취업자수는 정보기술(IT) 붐으로 내수와 수출 경기가 활황이었던 2000년(4백87만9천명)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청년 취업자는 2001년 6만4천명 줄어든 뒤 신용카드 소비진작 등의 내수부양책이 동원됐던 2002년 1만6천명 감소하는데 그쳤으나 지난해 19만2천명으로 다시 확대됐다. 청년 취업자가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접어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구직 단념자는 지난해 12월 10만8천명으로 1년전(3만9천명)보다 1백77% 늘어났다.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취업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내수업종과 자영업자 직격탄 지난해 일자리는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내수소비 업종과 자영업 부문에서 대거 줄었다. 도소매ㆍ음식숙박업 취업자는 1년전보다 14만6천명(2.4%) 감소했고 자영업자도 14만7천명(2.4%) 줄었다. 경기를 타는 일용 근로자는 30만3천명(12.5%) 줄었고 제조업 근로자는 공장 해외이전 등의 여파로 3만6천명(0.8%)이나 감소했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부동산 경기 활황으로 7만명(4%) 늘었고 공공서비스는 19만9천명(3.4%), 전기ㆍ운수창고업은 3천명(0.1%) 취업자가 증가했다. 근무시간별로는 주당 36시간 이상 근무하는 취업자가 15만9천명(0.8%) 감소하고 주당 근로시간도 0.7시간(1.4%) 줄어 고용불안이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 정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정부는 청년실업자 등 구직희망자들이 정부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자리 자격요건과 보수, 채용일정 등을 종합 제공하는 인터넷 정보란을 재정경제부와 노동부 홈페이지에 올리기로 했다. 김진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공공부문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중에는 교육정보시스템(NEIS) 보조업무(2천3백명)와 산자부 신기술 지원사업(2천7백명) 등 대졸자가 원하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에서 제공하는 일자리의 대부분이 임시직인 데다 민간기업의 정규 취업과 연결되기 어려워 청년 실업난을 완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