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외교 항명하다 경질됐나..노대통령 "결론낸뒤 브레이크 걸어" 배경 설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무현 대통령의 공직사회 기강잡기가 본격 시작된 것인가.
여성 경찰관이 사석에서 노 대통령의 사생활에 관한 '불미스런 언급'을 했다가 좌천당한데 이어 윤영관 외교부 장관이 전격 경질됐다.
형식은 윤 장관이 낸 사표를 수리한 것이지만 진행과정을 보면 문책인사다.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15일 사표수리 배경을 설명하면서 "외교부 일부 직원들이 참여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자주적 외교정책의 기본정신과 방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공·사석에서 구태적 발상으로 국익에 반하는 부적절한 언행을 수차례 반복했고,보안을 요하는 일부 정보들을 사전에 유출시켜 정부의 대외 외교정책의 훼손과 혼선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정 수석은 또 "이런 사실에 대한 조사과정에 대해 다시 이를 누출하는 등 정부의 기강을 흔드는 일을 자행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노 대통령은 이날 윤 장관의 경질에 대해 항명에 대한 조치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국가안보회의(NSC)와의 갈등과 관계가 없다.외교부와 NSC간에 갈등은 없다"며 "결론을 내고 난 뒤에 브레이크를 걸면 그건 대통령에 대한 항명"이라고 말했다.
정무직인 장관들부터 '본떼'를 보여 전체 공무원 사회의 동요로 확대되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청와대 관계자는 "후임 장관의 업무는 이제 정해진 셈 아니냐"며 외교부에 한바탕 인사 및 조직쇄신 바람이 불 것임을 예고했다.
정찬용 수석이 공개적으로 '자주적 외교정책과 과거의 의존적 대외정책' 등을 언급한 점도 주목된다.
이에 따라 이번 설화 파문을 계기로 집권 1년째에 접어드는 노 대통령의 외교정책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문을 일으킨 외교부 직원의 발언중에는 NSC 실무진들을 겨냥,"청와대내 '자주파'들을 갈아마셔야 한다"는 내용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