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등 아시아 신흥시장국가에 대한 해외자본 유입은 지난해보다 다소 줄겠지만 여전히 1천억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신흥시장의 경제 펀더멘털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해외자본 유입이 늘고 있어 자칫 지난 97년의 외환위기와 같은 사태가 재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미 이 지역의 자산가격이 상당히 높게 형성돼 있는 상황에서 많은 금액의 해외자본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경우 버블이 형성되고 결국에는 자산급락 가능성의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국제금융연구소(IIF)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신흥시장 자본투자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하고 이 지역에 대한 주식투자와 은행대출 등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IIF는 전세계 3백40여개 금융회사를 회원으로 둔 공신력 있는 국제금융 연구소다. IIF는 이 보고서에서 올해 전세계 신흥시장국가에 대한 해외자본 순유입 규모는 지난해(1천8백70억달러)보다 다소 늘어난 1천9백6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등 아ㆍ태지역 신흥시장 순유입 규모는 9백67억달러로 97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지난해(1천1백13억달러)보다는 다소 줄겠지만 여전히 전세계 신흥시장 유입규모의 절반 이상이 될 것으로 IIF는 내다봤다. 이 가운데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6백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포함한 전체 유입액의 80% 이상은 중국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올해 금융시장의 안정을 해칠 수 있는 요인으로 △미국의 금리인상 △세계경제의 갑작스런 침체가능성 △신용 위기 등을 들고, 이 경우 신흥시장의 자산 및 채권가격이 급락하는 등 부정적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찰스 달라라 IIF소장은 특히 "최근 아ㆍ태지역 신흥시장에 대한 자본유입이 과도하게 진행되고 있어 투기자본의 공격을 받을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우종근 기자 rgbac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