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가격 급등의 후폭풍이 불어닥치면서 국내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철강 석유화학제품 등 중간재 가격이 일제히 인상됐고 이에 따라 자동차 전자 등 주요 내구소비재에서 라면 두부 등 생필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제품 값이 인상 러시를 이루고 있다. 원자재값 상승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면서 자칫 구매력 감소와 내수침체 장기화로 이어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옥수수 콩 원유 원목 천연고무 석탄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올해도 큰 폭의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다. 대부분 원자재가 작년 상반기에 비해 평균 20∼1백%가량 가격이 인상됐고 일부 품목은 5배까지 올랐다. 기업들은 이에 따라 제조원가 상승 압력을 견디지 못해 새해 들어 일제히 제품가 인상에 나섰다. 가격 인상은 중간재 생산업체들이 주도하고 있다. 철강업체들은 조선 중공업 등 주요 수요처를 대상으로 후판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최근 냉연 가격을 t당 5만원(10%) 인상했다. 국제 유가의 영향을 받아 국내 기름값과 석유화학제품 가격도 속등하고 있다. 특히 주유소 기름값은 15주째 속등,경유는 사상 최고가인 ℓ당 9백원을 돌파했다.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글리콜(EG) 등 석유화학 제품 가격은 1년 전보다 평균 20.7% 올랐다. 전자업체 가운데는 최근 삼성전자가 전자전문점과 할인점 등 유통업체에 공급하는 TV 등 가전제품 가격을 2∼3% 인상했다. LG전자와 대우일렉트로닉스도 납품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현대 기아 GM대우 등 자동차업체들은 작년 말부터 올 초까지 새 연식 모델을 발표하면서 선택사양(옵션)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차량 값을 최고 12%나 올렸다. 라면 밀가루 대두 대두박 육류 등 거의 모든 식품류와 사료 가격도 조만간 일제히 인상될 전망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