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재건축에 대한 규제 강화로 사업 진행이 지지부진했던 서울 서초구 반포저밀도지구 단지들이 최근들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지침에 따라 평형별 가구수를 재조정해 건축심의를 받거나 총 가구수를 늘리려는 등 조합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매수세가 끊겨 거래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반포저밀도지구 조합들은 평형 재구성,총 가구수 확대,행정심판 및 청원 등의 방법을 동원하면서까지 재건축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업이 더 이상 지연될 경우 조합원들의 이익은 고사하고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구수가 제한돼 있는 반포지구에서 현행 2:4:4 비율은 최대 난제"라며 "단지별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방법을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비교적 사업 추진 속도가 빠른 3단지의 경우 지난해 말 서울시에 건축심의를 신청했다. 소형(전용면적 18평 이하)과 중형(18∼25.7평 이하),대형(25.7평 이상)의 비율을 2:4:4로 맞춘 결과 평형별 가구수는 △25평형 6백83가구 △34평형 1천3백64가구 △49평형 3백40가구 △60평형 3백48가구 △69평형 2백90가구 △79평형 1백62가구 △87평형 1백56가구 △92평형 68가구 등으로 초대형 평형이 다수 포진하게 됐다. 조합측은 오는 2월 2차 심의를 마치고 8월께 사업계획승인도 받는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조합은 당초 서울시의 반포지구 재건축 기본계획안인 3(소형) 대 7(중대형 이상) 비율 적용에 대한 행정심판을 진행 중이다. 또 재건축을 통한 건립가구수 증가(10%)도 요구하고 있다. 2단지의 경우 우선 재건축 후 총가구수 10% 확대건에 대해 서울시와 협상 중이다. 중소형 평형을 넣을 경우 재건축에 따른 대형 평형대 추가가 불가피해 인센티브를 적용,가구수 10%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논리다. 이와 함께 2:4:4안에 따른 재건축 진행 등에 대한 타당성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3천5백90가구로 구성된 1단지는 30평형대 이상인 1,2주구는 재건축 움직임이 거의 없고 3주구는 상가동의 문제가 남아 있다. 이 문제만 해결되면 조합설립인가를 거쳐 2:4:4의 비율로 가구수를 조정,사업계획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조합설립인가를 마친 한신1차의 경우 상가동의 문제만 결정되면 재건축 사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신15차는 대형 평형으로 구성돼 사업추진 자체가 난항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세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최고 8억원을 호가하던 3단지 16평형은 5억6천만원에도 매수세가 없을 정도다. 또 같은 단지 25평형도 8억원 안팎에서 시세가 형성돼 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