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기업이 한 명을 고용하면 50만원의 법인세를 깎아주는 가칭 '임시고용세액공제제도'를 3∼5년간 한시적으로 도입하자고 정부에 제안했다. 또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임금안정과 투자활성화가 전제돼야 한다며 대기업 임금 동결과 출자총액규제 폐지 등을 촉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7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주요 기업의 인사·노무담당 임원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영계 정책제언'을 발표했다. 재계는 법인체의 1년 이상 근속자 3백44만명에 대해 '임시고용세액공제제도' 혜택을 줄 경우 연간 1조7천억원 정도의 법인세 감세효과를 안겨줘 해당 기업들에 신규 고용을 늘리는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총은 "기업의 고용비용 부담 완화를 통한 고용 확대를 위해 호봉 승급 동결을 포함한 대기업 임금 동결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재계는 3백인 이상 대기업의 임금을 묶으면 현재 8%인 청년실업률은 2%로, 3.4%인 전체 실업률은 2.5%대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총은 "고용안정 차원에서 임금피크제를 50세 이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해당 기업에 퇴직금 중간정산 비용을 저리 융자해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경총은 △출자총액규제 폐지 △수도권 첨단 공장 증설 규제 완화 △1만2천2백명의 고용효과가 기대되는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등을 요구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