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기독교인들은 교회 홍보용 전도에 신물을 냅니다. 교인 숫자 경쟁보다는 '무엇을 도와드릴까요?'라며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는 '서비스의 교회'가 돼야 합니다." "기독교는 그간 사회적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왔으나 공신력은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어요." "교회에선 훌륭한 신앙인이지만 현실에선 비기독교적인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지난 27일 저녁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교회협·KNCC)가 서울 종로 5가 기독교회관에서 마련한 월례강좌에서 '위기'의 교회를 향해 쏟아진 비판과 제언들이다. 성공회대 부총장 양권석 신부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모임의 주제는 '한국교회-그 성숙함을 위한 진단과 제언'.그동안 인권 통일 민주화 등 대사회적 이슈에 주로 관심을 기울여왔던 교회협이 교회 내부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첫 자리였다. 발제자로 나선 최형묵 목사(천안 살림교회)는 "오늘날 교회의 위기는 언론의 단골메뉴였던 복지시설이나 기도원,신흥·유사 종교집단의 병폐 등과 달리 제도화된 '공식 교회'가 논란이 되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대형 교회의 교회세습과 각 교단의 금권선거,교회 내 성(性)문제와 대사회적 배타성 등을 실례로 들었다. 신앙과 삶의 불일치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영남신학대 김동건 교수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실생활에서 크고 작은 판단을 할 때 비신자와 다름없는 사고와 기준을 적용한다고 꼬집었다. 학교 촌지문제,교통위반을 하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신앙인의 양심을 지키기보다 현실과 타협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따라서 교회의 가르침이 개인의 내면뿐만 아니라 삶과 사회생활 전반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감리교의 최응희 목사(안디옥교회)는 "지금 필요한 것은 법이나 제도가 아니라 영적·정신적 개혁"이라며 목회 현장의 경험을 가감없이 전했다. 그는 성직자 선출과정에서 돈이 오가고,목회자들이 선교를 빙자해 빈번하게 해외여행에 나선다고 고발하면서 "교회가 세속주의에 빠졌다"고 말했다. 발제 후 40여명의 참석자들은 교회 개혁을 위한 다양한 연대의 필요성과 목사의 직분을 정확히 규정하고 새로운 성직자상을 확립할 필요성 등을 제기하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한편 교회 갱신을 위한 목회자협의회도 다음달 2일 서울 서초동 사랑의교회에서 '목사란 누구인가'를 주제로 포럼을 열어 개신교 목사의 현주소와 새롭게 자리매김할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