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의료 수준은 여전히 심각한 상태며 이에 대한 지원이 시급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아이길 소렌슨 북한 주재 대표(56·노르웨이)는 29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남북 보건의료분야 교류 및 협력증진에 관한 세미나' 참석차 방한한 소렌슨 대표는 세미나에 앞서 과천 보건복지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한국의 대북 '의료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전염병 억제나 주민 영양상태 개선에 진전이 있지만 아직도 의약품과 의료장비가 부족해 죽어가는 사람이 많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의 낙후된 보건의료체계는 한반도 전체의 비용 부담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제한 후 "장기적으로 통일 후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북한 보건의료 취약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정부에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렌슨 대표는 또 "2001년 북한 말라리아 환자가 30만명을 넘으며 위기감이 번졌지만 지난해에는 4만5천명선으로 줄어들었다"고 소개한 후 "결핵이 통제 단계에 들어섰고 최근 몇년새 어린이 영양상태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소렌슨 대표는 2000년 WHO 응급구호를 위한 조정관으로 북한에 파견됐으며 2001년 이후부터는 WHO 북한 주재 대표로 근무하고 있다. 우리나라 방문은 이번이 세번째다. 김혜수 기자 dear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