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플렉스(복합상영관)가 재래식 극장을 급속히 대체하면서 영화 관객들을 불러모으고 있다. 지난 1998년 강변CGV 개관으로 국내에 첫 선을 보인 멀티플렉스는 1일 현재 전국 8백46개의 스크린(5개관 이상 갖춘 극장 기준)으로 불어났다. 전체 1천1백56개의 스크린 중 73%에 달한다.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인 CGV는 1백36개,메가박스 80개,롯데 78개 등 '빅3'들의 스크린 수만 2백94개에 이른다. 후발주자인 프리머스시네마도 설립된 지 불과 1년여 만에 51개의 스크린을 갖췄고 올해 말까지는 1백40여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대형 멀티플렉스 체인들이 확장 경쟁을 하면서 지방 중소도시의 극장주들도 낡은 단관들을 허물고 새로운 복합상영관을 잇따라 짓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멀티플렉스들이 관객유치에 높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멀티플렉스가 단순히 영화를 보는 곳이 아니라 '쾌적한 환경 속에서 영화도 보고,먹고 놀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이라는 인식을 관객들에게 심어주고 있다. 멀티플렉스 '빅3'의 스크린 수는 전체의 25%에 불과하지만 지난해 전체 관객의 40% 이상을 끌어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시내 중심가에 밀집해 있던 기존 극장들과 달리 멀티플렉스들이 아파트 단지 등 주거지역 인근으로 파고든 것도 새로운 관객층을 불러모으는 요인이다. 분당 일산 부천 안산 부평 등 서울 인근 도시에서 멀티플렉스를 찾은 관객들만 지난해 1천만명을 웃돌았다. 멀티플렉스는 산뜻한 실내공간과 첨단시설을 갖춘 것 외에 다채로운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티켓 구입 방법을 인터넷·전화·휴대폰 등으로 다양화했고 장애인을 위한 시설과 주차 서비스 등을 도입했다. CGV 분당점과 상암점의 경우 비행기 퍼스트클래스 개념의 '골든 클래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50석 미만의 좌석만 있는 공간에서 1백80도 뒤로 젖힐 수 있는 안락한 의자에 앉아 편안하게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영화를 보는 도중 음료수나 햄버거 핫도그 등 간식거리를 서비스하기도 한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