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1 22:52
수정2006.04.01 22:55
'재정경제부-한국은행, 외환정책 갈등 풀릴까.'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규모와 방법을 놓고 갈등을 빚었던 재경부와 한은이 매주 머리를 맞대고 외환정책을 조율키로 해 향후 환율정책이 어떤 모습을 보일지 주목되고 있다.
최중경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장은 1일 "앞으로 한은과 보다 긴밀한 정책 공조를 위해 매주 금요일 양측 실무자간 조찬모임을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재경부에서 최 국장과 윤여권 외화자금과장, 한은에선 이영균 국제국장과 이창형 외환시장팀장 등 실무자 4명이 이미 지난 30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첫 모임을 가졌으며, 이번 주(6일)엔 한은 부근인 조선호텔에서 만날 예정이다.
최 국장은 "첫 모임에선 국내외 외환시장 동향 체크와 함께 이번주(6∼7일) 있을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대한 대비책 등을 논의했다"며 "앞으로 양 기관의 발표내용을 미리 서로 점검하는 등 외환정책과 관련한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외환시장 관계자들은 그간 한은 쪽에서 재경부의 역외선물환(NDF) 규제 및 외환스와프를 통한 시장개입을 못마땅하게 여겨왔기 때문에 정례회동을 통해 한은의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영균 한은 국제국장은 "앞으로 매주 만나서 직접 정책 등을 협의하기로 했기 때문에 언론에서 걱정할 만한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재경부의 시장 개입이 △동북아 금융허브 계획에도 마이너스 요인이 될 만큼 과다한 데다 △향후 금리정책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이에 대해 재경부측은 "내수부진으로 경기침체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수출마저 포기할 수는 없다"며 "외환시장 개입은 당분간 불가피하다"고 시장개입 방침을 고수해 왔다.
김진표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청와대도 재경부 한은 등과 함께 외환당국으로 불리지만 최근 환율정책과 관련해선 아무런 관여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 사실상 최근 외환시장 개입이 재경부 독단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했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