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산업이 문화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호응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흥행 대박' 영화가 잇따라 탄생하고 있다.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고급 영화인력과 전문경영인, 외부 자본이 영화계에 대거 유입되고 있고 한국영화의 수출도 급증하는 추세다.


상영관들 역시 첨단 영상과 놀이시설을 갖춘 멀티플렉스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제 영화가 일부 젊은 계층뿐 아니라 국민 대다수가 즐기는 보편적 여가 수단으로 자리잡았다고 진단한다.



◆ 시장 현황


지난해 한국영화와 외국영화를 포함한 전국 영화관객 수는 2002년보다 5.3% 증가한 1억1천만명(영화진흥위원회 잠정 집계), 영화산업 흥행시장 규모는 약 7천억원에 달했다.


DVD와 비디오 방송판권, 수출 등 2차 판권시장을 합치면 전년 대비 10% 정도 증가한 1조3천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동원 관객 기준으로 지난해 한국영화 점유율은 53%에 이른다.


자본주의 체제 국가에서 자국 영화 점유율이 할리우드 영화를 제치고 50%를 넘어선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영화 선진국인 프랑스와 일본의 경우도 자국 영화 점유율은 30~40%선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대박'으로 분류되는, 3백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영화는 '살인의 추억'등 5편에 달했다.


지난해 제작된 영화 편수가 줄고 관객은 늘었기 때문에 영화업계의 수익은 호전됐다.


2002년에는 76편(평균 제작비 편당 30억원)이 개봉돼 편당 4억원 정도 적자를 냈지만 지난해에는 65편(평균 제작비 편당 35억원)이 개봉돼 편당 2천만원 정도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흑자를 기록한 영화는 전체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20편에 불과해 흥행 편중 현상은 여전했다.


영화가 여전히 투자위험이 큰 '벤처산업'이란 의미다.


게다가 흥행수익이 톱스타와 극소수의 제작ㆍ투자자들의 몫으로 돌아가는 탓에 현장 스태프들의 연봉은 평균 1천만원을 밑돌 정도로 열악한 실정이다.



◆ 시장활황 이유


고급 인력과 자본들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영화계 경영의 투명성이 웬만큼 확보됐고 안정적인 재원조달 창구를 마련한게 기폭제로 작용했다.


KM컬쳐, 기획시대, 에그필름, 아이픽처스 등 10여개 영화사들은 최근 금융계 출신 인사들을 최고경영자(CEO)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영입했다.


이들은 전문화된 경영 노하우를 갖고 영화를 하나의 '산업'으로 키워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


CJ엔터테인먼트와 플레너스㈜시네마서비스가 코스닥에 등록한데 이어 강제규필름과 명필름, 싸이더스, 싸이더스HQ 등은 상장사들과의 지분 교환을 통해 우회적으로 증권시장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강우석 강제규 이은 등 영화감독들은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의 돈을 벌어들였다.



◆ 전망


한국 영화산업은 올해도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총 제작비 1백70억원이 들어간 화제작 '태극기 휘날리며'가 오는 5일 개봉하는 등 관객 3백만명 이상의 흥행대작들이 5~10편 정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실미도'가 '대박'을 터뜨린 후 '역도산' '바람의 파이터' '천군' '창공' 등 총 제작비 80억원 이상의 대작들이 대거 기획 중에 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