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일 제13차 장관급회담 개최일에맞춰 오는 25일 제2차 6자회담 개최를 전격 발표함에 따라 남북 양측은 핵문제에 대한 부담을 털고 남북 관계에 초점을 맞춰 논의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02년 10월 북핵문제가 불거진 이후 남북 양측은 장관급회담에서 북핵 해법을 놓고 갈등을 거듭해 왔고 작년 10월 제12차 회담에서는 공동보도문도 발표하지못했기 때문에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북측에 6자회담 참가를 위한 전향적 자세를 강력히 주문할 계획이었다. 정부 당국자는 "제2차 6자회담 일정이 잡혔지만 북측의 성의있는 회담 참여를 계속 거론할 것"이라면서도 "6자 회담 날짜가 정해진 만큼 남북관계 내실화를 위한 성과있는 회담이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정부는 핵문제에 대한 언급을 줄이돼 군사회담 개최, 경제협력, 사회문화교류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와 신뢰구축을 위해 국방장관회담을 포함한 군사당국간 회담의 개최는 이미 남북간 철도ㆍ도로 연결사업으로 비무장지대(DMZ)가 열리고 남북간 군사직통전화가 개통되는 등 단초가 마련된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필연적이라는 점을 주지시킬 계획이다. 사회문화분야에서는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논의가 제기될 전망이다. 우선 지난 제11차 장관급회담에서 원칙적인 합의가 이뤄진 사회문화교류협력분과위의 본격 가동을 위해 구성및 첫 회의 개최시기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게 된다. 우리측은 특히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남북이 공동 대응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마련한다는 차원에서 남북 학술단체간 교류도 제의할 계획이다.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 등을 감안할 때 남북 당국이 직접 대응하기 보다는 학술교류를 통해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시드니 올림픽에 이어 오는 8월 열리는 제28회 아테네올림픽에서 남북 양측선수단이 공동 입장, 남북화해 분위기를 세계에 알리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 정부는 3월 중순께 금강산에서 제9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갖자고 제의하고 생사ㆍ주소확인 및 서신교환의 확대, 납북자및 국군포로 문제해결을 위한 북측의 성의있는 자세를 촉구할 방침이다. 한편 북측은 핵문제 해결의 책임이 미국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민족공조'를 통한 한반도 불안 극복을 남측에 주문하면서 봄철 시비기를 맞아 비료와 식량 지원을 요청해올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연합뉴스) 이 유ㆍ장용훈 기자 lye@yna.co.kr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