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규 공정거래위원장은 5일 금융시장의 외국자본 비중 급증과 관련, "외국자본의 도입 자체를 막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며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이날 저녁 조선호텔에서 열린 우리은행 다이아몬드클럽 신년 하례세미나에서 외국자본의 금융시장 점유 확대에 대해 "국제화 시대에 자본의 국적을 따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위원장은 "금융시장을 외국인이 장악하면 국내 금융자본 육성저해, 은행 운영경험이 없는 외국자본의 진출, 시스템 리스크 발생시 국익과 관계없이 방치할 우려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반면, 대외 신인도 제고와 경영투명성 제고 등의 긍정적 측면도 함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도입 자체를 막기보다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 "금융기관 매각시 국내 자본 참여를 적극 유도하거나 외국자본에 대한자격 심사 강화, 연기금이나 국내 펀드의 금융시장 참여확대를 통해 국내외 자본이균형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강 위원장은 "금융시스템의 건전성과 효율성이 제고되려면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전제로 투명하고 공정한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엄격한 감독과 부실처리로 도덕적 해이를 차단하는 한편, 신용정보의 양과 질을 높여 채권시장등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