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이달 콜금리를 7개월째 현 수준(연 3.75%)으로 동결한 배경에는 국내 경기 회복세가 아직 미진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수출 호조덕에 산업생산이 개선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내수와 투자는 더욱 악화돼 경기침체 국면이 언제 끝날 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특히 중국의 저임금 공세로 업종별 또는 수출과 내수간 양극화 현상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전망이어서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 회복세는 더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L자(字)형' 경기회복 지연


박승 한은 총재는 "수출이 경기회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지연돼 내수와 수출이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주장하던 '작년 3분기 바닥론'은 이미 무의미해졌고 오히려 'L자(字)형'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부쩍 높아진 셈이다.


특히 한은이 이날 내놓은 기업 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작년 9월이후 급격히 개선되다 11월을 정점으로 다시 하락세가 완연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박 총재는 이같은 양극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중국의 부상(浮上)'을 꼽았다.


중국의 저임금 산업으로 인해 국내 산업의 공동화가 가속화하고 있으며 국내 경기의 양극화도 이런 과정에서 나타난 한 단면이라는 분석이다.


박 총재는 "경제발전 과정에서 어차피 겪어야 할 산업공동화를 경쟁력 제고의 계기로 삼으려면 노사문제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사·정의 대화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반기 더 불안한 물가


박 총재는 "연초 물가가 크게 오르고 있지만 계절적 요인 등 일시적 변수에 의한 것인 만큼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매년 연간 물가상승의 60%가량이 1분기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볼 때 올해 물가목표(3% 안팎)를 지켜내는 데는 무리가 없다는 진단이다.


물가상승이 원자재나 원유가격 등 비용측면에서 촉발됐다는 것도 '금리인상'을 검토할 상황이 아닌 이유로 꼽힌다.


'수요견인(demand-pull)'으로 초래된 물가상승은 통화정책을 통해 잡을 수 있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비용요인(cost-push)'에 의한 물가상승은 금리로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자칫 금리를 잘못 올리면 가뜩이나 침체된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도 금리인상 결정의 발목을 잡았다.


그러나 하반기 물가에 대해서는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박 총재는 "지속적인 원자재 가격 불안정과 임금 및 공공요금 인상조짐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 물가는 특별한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