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minutes released Thursday from its latest monetary policy meeting, Brazil's central bank said it temporarily halted seven months of interest rate cuts last week, keeping its base rate at 16.5%, to "impede price readjustments in sectors that have benefitted most in a strengthening economy from contaminating all other prices." The minutes were the latest in a string of brusque exchanges between business leaders and the government of President Luiz Inacio Lula da Silva this week. On a state visit in India, Lula said industrialists should get creative and stop whining for magic solutions from the government. The finance ministry is considering slashing tariffs on steel imports to zero if local producers contribute to inflation by hiking prices. If tariffs in the steel sector are cut, other sectors like cellulose and plastics may be included as well. The government has gained experience using regulatory muscle to fight inflation. Last year, it limited the size and timing of tariff hikes in the telecommunications and electricity sectors. If it can keep inflation under control, the central bank may be able to establish a new, lower real interest rate. The real interest rate-defined as the nominal rate less inflation-has fallen to its historic 10% equilibrium since June and more cuts to the benchmark rate may lower it to about 7%, economists say. ( 1월29일자 Dow Jones Newswires 'Brazil Threatens To End Rate Cuts If Companies Up Prices ) 지난 목요일 공개된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서 브라질 중앙은행은 "7개월간 이어온 금리인하 조치를 이번에는 보류키로 했다"고 밝혔다. 기준금리를 16.5%로 유지하고 있는 중앙은행은 "경제회생으로 혜택을 입은 산업에서의 가격조정이 다른 상품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런 조치를 내렸다"고 말했다. 의사록은 재계와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행정부 사이의 치열한 논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인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룰라 대통령은 "재계는 더이상 정부에 넋두리만 늘어놓지 말고 창의적인 대책을 만들라"고 비판했다. 재무부는 철강 수입품 관세도 '제로(0)'로 낮추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국내 철강업자들이 값을 올려 인플레를 유발시킨다면 아예 관세를 폐지하겠다는 뜻이다. 철강부문에서 관세가 인하되면 셀룰로스(cellulose)나 플라스틱도 관세인하 품목에 포함될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인플레 억제를 위해 규제활동을 펴왔다. 지난해에는 통신ㆍ전기 분야에서 관세 인상의 규모와 시점을 통제했다. 정부가 물가를 잡아주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더 낮출 수 있다. 지난해 6월 이후 실질금리(명목금리-인플레이션율)는 10% 수준에서 균형점을 찾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면 실질금리는 7%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경제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 [ 기준금리…LiborㆍSibor 등이 해당 ] tips =benchmark rate란 기준금리로 해석된다. benchmark는 어떤 대상을 비교할 때의 '기준'을 뜻한다. 어떤 회사를 benchmarking 한다고 하면 그 회사를 자사의 모델로 삼는다는 의미이다. 대표적인 기준금리로는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가 있다. 이는 런던 은행간에 거래되는 금리다. Sibor는 싱가포르 금융시장에서 은행간 거래시 적용되는 금리. 영문에서 Libor±0.xx%라 할 때의 0.xx%는 스프레드(spread)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기준금리에서 얼마를 더하고 뺐느냐를 보여주는 지표다. Libor 기준으로 스프레드가 얼마냐고 물으려면 What is the spread against Libor?라고 말한다. '기준금리로 사용된다'는 'be used as the benchmark rate'라고 표현한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