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회담 내용] '동아시아 통화 서서히 절상' 가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 보카러턴 G7(선진 7개국) 회담은 동아시아 통화를 집중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작년 9월의 두바이 G7 회담에서는 '보다 유연한 환율(more flexibility in exchange rates)'을 강조하며 모든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약세를 유도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환율 유연성이 부족한 국가와 지역에서는 보다 유연한 환율이 필요하다'며 달러화에 대해 가치가 올라가야 할 통화들의 범위를 좁혔다.
◆아시아통화,점진적으로 오를 듯
G7이 직접적으로 거명하지는 않았지만,'유연성이 부족한 통화'가 중국 위안,홍콩 홍콩달러,한국 원,대만 대만달러 등 동아시아 통화들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무엇보다 이들 통화의 가치는 작년 9월20일 G7 회담 이후 유로화나 엔화에 비해 상승폭이 작거나 오히려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5개월간 유로 및 엔화는 달러화에 대해 각각 12% 및 8.1% 올랐다.
그러나 한국 원화의 경우 작년 9월22일 달러당 1천1백51원에서 지금은 1천1백66원으로 가치가 떨어졌다.
대만달러화의 사정도 거의 같고,달러화에 고정돼 있는 위안과 홍콩달러화는 거의 변동이 없는 상태다.
때문에 이들 동아시아 통화는 이번 회담을 계기로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평가절상 압력을 받을 전망이다.
다행인 것은 G7의 지나친 환율변동 우려로 급격히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다른 동아시아 통화들과는 달리 엔화의 상승 지속 여부는 다소 불투명해졌다.
일본이 미국과 유럽연합(EU)으로부터 시장 개입의 양해를 구했기 때문이다.
다니가키 사다카즈 일본 재무상은 회담 후 기자들에게 "엔화가치가 경제 펀더멘털을 벗어날 경우 일본 정부는 시장에 개입할 것임을 회담 참석자들에 통보했으며,다른 G7 국가들도 양해를 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시장이 회담 성명 중 '변동성 우려'와 '환율 유연성' 중 어디에 더 주목하느냐에 따라 국제 환율의 방향과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과 EU,각각 반반의 승리
이번 회담의 승자는 미국과 EU다.
양측은 회담 참석이 원천적으로 배제된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를 희생양으로 삼아 각자의 이익을 추구했다.
회담 성명의 '유연한 환율' 문구는 미국의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고,'지나친 환율변동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표현은 독일 프랑스 영국 등 EU 국가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이다.
미국은 '유연한 환율'을 통해 동아시아 통화에 대한 평가절상 압력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
EU는 '지나친 변동성 우려'라는 문구를 성명에 새로 삽입함으로써 시장에 유로화의 하락 유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됐다.
일본은 특별히 얻은 것도 잃은 것도 없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