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는 쓰고 남은 무료통화 시간을 다음달로 넘겨서 쓸 수 있는 '무료통화 이월요금제'를 9일부터 도입한다.
이 요금상품은 고객들이 통화량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요금 1만5천원(휴일 2시간)에서 6만5천원(평일 10시간,휴일 20시간)까지 6가지 상품으로 구성됐다.
사용하다 남은 무료통화시간은 다음달 한달간 쓸 수 있으며 2개월 이상 이월되지는 않는다.
한국은 ‘e스포츠 종주국’으로 불린다. 실제로 e스포츠의 초기 형태인 게임 대회가 처음 개최된 곳은 북미다. 1972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생들이 ‘스페이스워’라는 슈팅 게임 대회를 주최한 것이 e스포츠의 기원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한국이 종주국으로 꼽히는 이유는 e스포츠의 대중화를 이끌었기 때문이다.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만든 전략 게임인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출시 이후 PC방 확대와 맞물려 국내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이후 PC방 대회를 거쳐 세계 최초로 게임 전문 방송사인 온게임넷과 MBC 게임이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중계하기 시작했다. 임요환 등 스타 프로게이머가 등장하며 대중화를 이끌었다. 현재는 리그오브레전드 종목에서 '페이커' 이상혁 등이 활약하고 있다. 이 같은 e스포츠 성장세에 힘입어 한국은 빠르게 e스포츠 종주국으로 자리매김했다.하지만 한국의 e스포츠 리더십이 최근 들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e스포츠 산업에서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오일 머니를 앞세워 '매머드급'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중국은 텐센트를 앞세워 글로벌 e스포츠 표준 선점에 나섰다. 먼저 사우디는 지난해 ‘e스포츠 월드컵’(이하 EWC)을 개최하며 e스포츠 중심지로 도약에 나섰다. EWC는 사우디가 기존에 진행하던 ‘레인보우 8’을 확대한 행사로 총상금 규모가 약 6000만 달러(약 860억 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e스포츠 대회다. EWC 연맹에 따르면 8주간 진행된 대회를 보러 20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사우디 수도인 리야드를 방문했다. 또한 5억 명이 넘는 팬들이 2억 5천만 시간 이상 대회를 시청
"하루에 보통 35~55명 정도 방문하세요. 주말이나 연휴 끝나고는 더 많이 오시고요."사후서비스(AS)로 한때 원성을 샀던 다이슨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었다. 다이슨 신사프리미엄 서비스센터 직원은 하루에도 수십명씩 고객들이 별다른 불만 없이 가전을 수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전 성능에만 치우쳤던 이 외산 브랜드는 과거 한 차례 홍역을 치른 이후 AS에 소홀했던 이전 모습을 완벽하게 지워냈다.AS 기다리면서 다이슨 제품 체험 가능지난 20일 오후 다이슨 신사프리미엄 서비스센터엔 고객 2명이 각기 다른 가전을 들고 AS를 기다리고 있었다. 불만을 털어놓는 고객은 보이지 않았다. 고객들은 경력과 전문성에 따라 구분된 AS 전담 엔지니어와 상담이 진행되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받았다.다이슨 서비스센터 엔지니어는 플래티넘, 골드, 실버 등 세 등급으로 구분된다. 프리미엄 서비스센터엔 가장 높은 등급의 플래티넘 엔지니어들이 주로 근무하고 있다.따로 예약하지 않고 서비스센터를 찾아도 AS를 받을 수 있다. 센터 안쪽 접수처 앞에 놓인 태블릿 PC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해 AS를 신청하면 된다.기자가 센터를 찾았을 땐 '현재 대기인원 0명', '예상 대기시간 5분'이 태블릿 PC에 표시됐다. 안내직원은 고객이 AS를 맡긴 상품의 점검이 끝나자 "작동이 되더라도 흡입이 안 될 수 있다"며 고객에게 제품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설명했다. 설명이 끝난 후 직원은 해당 상품을 수거해갔다.프리미엄 서비스센터는 AS만 제공하지 않는다. 제품을 직접 만져보고 사용할 수 있도록 조성됐다. AS를 기다리던 한 고객은 센터 내에 진열된 다이슨 청소기를 구경하면서 순서를 기다렸다.기자도
상위 1% 유튜버·인터넷 방송진행자(BJ)들이 연간 벌어들이는 수익은 평균 13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BJ 등 1인 미디어 창작자로 수입을 신고한 사업자 2만3797명의 지난해 총수입은 1조7816억원을 기록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 수는 지난 5년 사이 약 19배 늘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9년 1327명, 2020년 9449명, 2021년 1만6294명, 2022년 1만9290명, 2023년 2만4797명이다. 1인 미디어 창작자들이 신고한 수입도 늘었다. 같은 기간 1인 미디어 창작자 총 수입 금액은 1011억원, 5339억원, 1조83억원, 1조4537억원, 1조7861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1인 미디어 창작자 수입 상위 1%에 해당하는 247명의 총수입은 3271억원. 전체 수입 가운데 18.3%를 차지했다. 1인당 평균 13억2500만원을 벌어들인 셈이다. 4년 전 상위 1%의 평균 수입은 연간 3억6200만원으로 조사됐다. 정 의원은 "유튜버·BJ 등 연 수입이 매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데도 세무조사 건수는 최근 3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는 만큼 강력한 세무조사를 촉구한다"며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콘텐츠 양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국세청은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설계해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