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가 바뀌었다. 총선에 모든 것을 걸겠다는 이른바 '올인' 전략의 일환이란 해석도 없지는 않지만,어쨌든 경제가 어려운 시점에 경륜있는 관료출신이 새 부총리로 기용됐다는 점에서 기대하는 바가 적지 않다. 하지만 지금 이 상황에서 '경제부총리가 누구인가'가 과연 어느정도 의미를 갖고 있는지,솔직히 말해 의문인 것도 사실이다. 끝도 없이 이어지고 있는 대선자금 수사,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정치권의 갈등,선거를 의식한 인기 정책의 홍수 속에서 과연 경제부총리의 역할이 얼마나 있을지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국제 사회와의 약속인 FTA(자유무역협정) 하나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는 현실은 경제부총리나 장관 한둘 바뀐다고 해결될 성질이 전혀 아니라고 본다. 이헌재 부총리는 개각발표 후 "개혁보다는 성장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는 너무나 당연한 얘기다. 대통령도 연두기자회견에서 일자리 창출을 화두로 내걸었고,일자리는 성장을 통해서만 창출될수 있기 때문이다. 노·사·정이 모처럼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사회협약에 합의했을 정도로 이제 그런 방향에 이론(異論)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각론으로 들어가면 구체적인 방법론은 전혀 제시된 바가 없다. 말과 행동이 다른 탓에 정책의 신뢰성은 크게 떨어져 있고, 그래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기만 하는 상황이다. 새 부총리가 제 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것은 바꿔 말하면 경제를 경제논리에 따라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는 얘기로 통한다. 어설픈 인기정책이 더이상 되풀이돼선 안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대통령을 포함한 정치권의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범정부 차원에서 성장의 주역인 기업들의 활력을 어떻게 되살릴지를 생각해야 할 시점이다,대통령부터 나서 반(反)기업정서를 없애고 각종 규제를 철폐하는 등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