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분위기 쇄신용 개각은 하지 않겠으며,개혁이 필요한 부처의 경우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 하도록 하겠다.장관은 2년 내지 2년반 정도의 임기가 보장돼야 한다."(2003년 2월27일,개각발표) "아침에 참모진이 '생일을 맞아 소원을 얘기해 보라'고 해 '마음속으로 하겠다'며 대답하지 않았는데,1년 뒤에도 지금 이 자리의 국무위원들 얼굴을 이대로 만나는 게 소망이다."(2003년 9월2일,국무위원들과 생일오찬장) "각료는 2년 정도는 해야 맞다."(2004년 1월30일,청와대 보좌관 3명 임명장 수여식) "신임 부총리를 발표하고 나니 소비와 투자가 늘어났다고 하더라."(2004년 2월11일,이헌재 경제부총리 등 임명장 수여식) 장관의 임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이 문제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한결같이 장관을 쉽게,자주 바꾸지 않겠다면서 공식 석상에서 이렇게 말해왔다. 과거 정권에서는 몰라도 '참여정부'의 장관은 다를 것이라는 얘기였다. 이 말 외에도 노 대통령은 단명 장관의 폐단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정치상황에 따른 개각은 있을 수 없다며 분위기 쇄신용 개각은 '말이 안된다'고 역설했다.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서도 "책임이 있다면 대통령이 져야지,왜 장관에게 (정치적) 책임을 지우느냐"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동안의 다짐과 결과는 상당히 다르다. 취임 1년이 안됐지만 고건 총리를 포함해 각료 21명 중 12명이 바뀌었다. 조각 때 임명 그대로인 장관은 9명,절반도 되지 않는다. 물론 이 중에는 김두관 전 행자부 장관처럼 노 대통령은 바꾸고 싶지 않았지만 국회가 해임결의안을 내는 바람에 어쩔수 없이 교체한 경우도 있고,허성관 행자부 장관처럼 부처를 옮긴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각 부처의 실무공무원들이나 국민 입장에서 보면 국정분야별 '야전 사령탑'격인 장관이 바뀐 부처가 더 많다. 게다가 지난 11일 바뀐 4명의 각료는 총선출마 때문이었다. 정치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행정부가 정치의 부속물처럼 된 상황이다. 허원순 정치부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