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8% 공개매수 공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CC의 현대엘리베이터 주식 공개매수 결정으로 현대그룹 경영권 분쟁이 2라운드를 맞게 됐다.
지난 12일 금융 당국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손을 들어줘 현대가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는 듯했으나 KCC가 즉각 반격에 나서 경영권의 향방은 다시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으로 돌변했다.
오는 3월 주주총회장에서 깔끔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만큼 KCC와 현대는 장기전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창을 먼저 빼든 KCC의 전략은 간단하다.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적법하게 지분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공개매수 결정은 경영권을 가져올 수 있을 정도의 지분을 공개적으로 사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KCC측은 공개매수의 명분으로 경영권 확보와 함께 소액주주 보호를 내걸고 있다.
금융당국의 처분명령에 따라 뮤추얼펀드(7.87%)와 사모펀드(12.91%)를 시장에서 팔면 주가가 곤두박질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물량을 공개매수로 거둬들여 주가하락을 최대한 막겠다는 전략이다.
증권업계는 양측의 자금력에 비춰 엘리베이터 주가가 높을수록 KCC에 유리한 싸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KCC 정상영 명예회장은 현금 유동성이 충분한 반면 현대 현정은 회장은 자금 사정이 빠듯한 실정이다.
전날 증권선물위원회의 처분명령으로 승기를 잡는 듯했던 현대측이 KCC의 전격적인 공개 매수에 곤혹스러워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M&A(인수합병) 전문가들은 현실적으로 방어자측이 큰 돈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경영권을 방어할 방법을 찾긴 어렵다고 설명한다.
증권거래법은 경영권 분쟁와중에는 상대방 지분율을 희석할 수 있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등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작년말 추진했던 대규모 공모도 다시 추진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법원이 경영권 방어를 위한 수단으로 공모를 추진한다고 판단, KCC의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사모 전환사채(CB), 사모 주식인수권부 사채(BW) 발행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상황에서 현 회장이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돈을 마련해 주식을 더 사는 것이다.
자금이 없으면 경영권 방어를 도와줄 백기사(White Knight)를 찾아야 한다.
재계는 현대상선 및 현대증권 등 현대 주요 계열사들의 영업이 호조를 보이는 만큼 전략적 파트너를 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최악의 경우 공격 대상인 엘리베이터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위해 보유중인 현대상선 지분 15.16%를 우호세력에 맡기는 방안도 배제할 수 없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동원해 경영권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중"이라며 "그때까지 KCC의 불법성과 부도덕성을 부각시켜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